
쌍용차의 대형 SUV G4 렉스턴이 인간공학디자인상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쌍용자동차(대표 최종식)는 G4 렉스턴이 인간공학 디자인상(EDA, Ergonomic Design Award)에서 최고 영예인 그랑프리를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대한인간공학회가 주관하는 인간공학디자인상은 소비자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용이성, 효율성, 기능성, 감성품질, 안전성, 보전성, 가격 등 총 7개 항목을 평가해 인간공학적 제품을 선정한다.
G4 렉스턴은 승객 거주 공간 및 적재공간 활용성 극대화에 초점을 둔 공간 중심 디자인과 시트 안락성,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적용한 HMI 설계가 적용됐다. 여기에 동급 최고 수준의 주행 성능 및 안전성을 갖춘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SUV 특유의 공간 활용성과 넓은 운전 시계(視界)를 확보했으며, 전동식 사이드스텝을 적용해 높은 전고에도 불구하고 모든 연령의 탑승객이 편하고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한 건 눈에 띈다.
시트 부위별로 단단함을 달리 한 삼경도(tri-hardness) 패드와 향상된 구조의 풀마플렉스(Pullmaflex) 스프링 적용, 신체 부위별 특성을 고려한 설계로 코너링과 고속주행 시 안락감과 편의성을 높이는 등 감성품질을 극대화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별 스위치 배열을 최적화했으며, 라디오 주파수의 자동 변경과 한 번의 음성 명령으로 목적지 검색이 가능한 기능 등 혁신적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운전자의 시선 분산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차단하여 운전 집중도와 안전성을 높였다.
클러스터 UI(User Interface)는 운전자가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며, 와이파이(Wi-fi)를 통한 양방향 미러링으로 스마트폰의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인테리어 설계에서 운전자에게 차별화된 감성품질을 제공한 것이 평가 과정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수원 쌍용차 기술연구소장은 “G4 렉스턴을 개발 초기부터 소비자들이 바라는 운행 편의성, 안락감 및 감성적 가치에 대한 욕구를 적극 반영해 인간공학적 설계를 진행했다”며 “G4 렉스턴의 디자인 그랑프리 수상에 만족하지 않고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혁신 노력을 통해 쌍용차만의 차별화된 감성적 가치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쌍용차는 지난 2015년 티볼리의 세미버킷 시트로 제15회 인간공학디자인상 그랑프리를 수상한 바 있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채널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기사 ]
▶ 기아차의 야심작..스포츠 세단 ‘스팅어’ 엠블럼 속 의미는?
▶ “람보르기니는 슈퍼카만 만든다고? 천만의 말씀!”
▶ 폭스바겐, ′티록′ 티저 영상 공개..데뷔 계획은?
▶ 현대차가 美서 폭스바겐 전기차 인프라 구축 계획을 반대하는 이유는?
▶ 하늘 나는 ‘플라잉 택시’, 3년 안에 현실화..이용 가격은 얼마?
▶ 獨?佛?伊, EU의 배출가스 규제 강화 추진에 강력 반발..이유는?
▶ 英서 쌍용차 로디우스 이용해 만든 클래식 요트..‘쌍요트’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