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중형세단도 터보시대’. 신형 말리부 등장으로 터보모델 인기

2017.06.28. 14:54:29
조회 수
5,425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터보엔진으로 무장한 신형 말리부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오토데일리 이상원기자] 올들어 중형차시장이 판도가 크게 바뀌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쏘나타와 기아자동차의 K5가 독점하다시피 해 온 중형차시장이 한국지엠 말리부와 르노삼성의 SM6가 급부상하면서 절대 강자가 없는 전국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 5월까지 국산 중형세단 판매량은 현대 쏘나타가 3만2,739 대로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전년 동기대비 8.5%가 줄었다.

한 때 쏘나타를 위협하며 2강 체제를 이뤄왔던 기아차의 K5는 무려 23.6%가 줄어든 1만5,385 대로 중형차 꼴찌로 추락했다.

반면, 르노삼성의 SM6는 0.1%가 증가한 2만201 대가 팔리면서 K5를 밀어내고 2위 자리를 꿰찼다.

올해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차종은 한국지엠의 말리부다. 이 기간 말리부는 전년 동기대비 무려 169.0% 증가한 1만6,819 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4월 혜성처럼 등장한 신형 말리부는 월 평균 4천 대씩 팔리면서 연간 판매량이 124% 증가한 3만6,658 대를 기록하면서 단숨에 중형차 시장 판도를 3강구도로 변화시켰다.

신모델 투입되기 전 말리부의 판매량은 겨우 월 평균 600-700대에 불과했던 말리부는 엔진 라인업을 터보로 무장, 출시 줄곧 중형 가솔린모델 부문 판매 1위를 기록하면서 확실히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말리부가 중형세단시장에서 주목을 끄는 가장 큰 요인의 하나는 고성능, 고효율의 터보 라인업이다.

말리부는 다른 중형차와 달리 자연흡기엔진을 배제하고 다운사이징된 1.5, 2.0 터보 가솔린엔진으로 라인업을 구성했다.

전 라인업을 터보로만 구성한 것은 국산차를 통틀어 말리부가 처음이다.

특히 1.5터보모델은 이전까지 대세였던 2.0리터 자연흡기 모델을 대체할 수 있는 파격적인 승부수였다.

배기량은 500cc나 줄였지만 터보엔진 특유의 멈칫거림이 없는 파워와 가속성능은 물론, 연비까지 훨씬 탁월해 단숨에 국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실제로 말리부 1.5리터 모델은 연비가 리터당 13.0km로 동급 가솔린 모델 중 가장 높고, 말리부 2.0 터보 모델은 최고출력이 253마력으로 국산 중형차 중 가장 파워풀하다.

특히, 신형 말리부는 원가가 높은 터보엔진을 기본으로 탑재, 자연흡기 일변도의 국산 중형차 시장에서 ‘터보 대중화’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쏘나타 등 일부 차종에도 터보엔진이 탑재되고 있지만, 비싼 가격과 울컥거리는 터보 랙 때문에 구입비율은 고작 3% 내외에 불과했다.

하지만 신형 말리부 출시 이후에는 터보모델에 대한 인식이 확 달라졌다.

신형 말리부에는 랙 타입의 전자식 차속 감응 파워스티어링 (R-EPS) 시스템을 기본으로 탑재돼 핸들링과 코너링 성능이 탁월하다. 여기에 서스펜션이 국내 지형에 맞게 튜닝, GM(제너럴 모터스)의 고급차 브랜드인 캐딜락을 연상시키는 뛰어난 승차감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신형 말리부에 적용된 고 강성 경량차체도 뛰어난 주행성능을 가능케 하는 한 요인이다.

신형 말리부는 차체 길이가 기존모델보다 60mm, 휠베이스는 93mm가 차체를 커졌는데도 총 중량은 130kg이나 가벼워졌다.

이는 GM의 최신 경량화 테트놀로지인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적용한 덕분이다.

스마트 엔지니어링은 컴퓨터시뮬레이션으로 차체를 분석, 하중이나 힘이 많이 실리는 곳을 집중 보강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덜어내는 방법으로 크기와 강성을 높이면서도 무게를 줄이는 기법이다.

고 강성 경량차체는 운동성능과 연비를 동시에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소다.

신형 말리부의 볼륨감 있는 쿠페형 디자인도 소비자들의 눈길을 끄는데 한 몫하고 있다.

신형 말리부는 ‘린 머스큘러(lean muscular)’로 불리는 프리미엄 디자인 언어를 적용, 근육질의 남성이 마치 수트를 입은 듯한 팽팽한 볼륨감을 여러 개의 라인들로 구성했다.

여기에 유연하게 떨어지는 루프라인으로 스포티함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준대형급에 육박하는 차체 크기도 패밀리 세단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을 유혹하기에 충분하다.

신형 말리부의 차체 길이는 4,925mm로 경쟁 차종인 현대 쏘나타 뉴 라이즈보다 70mm, 르노삼성 SM6보다 75mm가 더 길며 준 대형 세단인 현대 그랜저에 비해선 단 5mm가 짧아 차체크기로 보면 준 대형 세단에 가깝다.

외형이 커지면서 실내공간도 훨씬 넓어졌다. 이전 모델에서 다소 좁은 것으로 지적되던 뒷좌석 레그룸이 33mm 가량 길어지면서 뒷좌석 공간이 한층 여유로워졌다.

특히, 뒷좌석 헤드룸은 천정이 낮은 쿠페형 디자인에도 불구, 전혀 불편함이 없을 정도다.

쉐보레 전통의 뛰어난 안전도 역시 소비자들의 주요 구매 포인트가 됐다. 한국지엠은 작년 11월 말리부의 자체 충돌 테스트를 미디어에 공개하며 안전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전통적으로 안전성은 GM 베이스의 한국지엠 차종이 국산차 중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신형 말리부 역시 ‘2016 신차 안전도 평가(KNCAP)’에서 평가 대상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2016 올해의 안전한 차’에 선정됐다.

한국지엠측은 “신형 말리부는 기존 중형차와는 차별화된 독보적인 장점을 내세워 국내 중형차 시장에서 자신만의 확고한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면서 “최근의 누수 관련 이슈에도 적극 대응을 하는 등, 서비스 부문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 오토데일리(http://www.autodail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D램 가격 급등세…DDR5 제품군 평균 10% 이상 올라 뉴스탭
[부고] 노우래(아시아경제 문화스포츠팀 차장)씨 장인상 연합뉴스
파마리서치, KLPGA 조혜림·마서영·윤수아·황연서 후원 연합뉴스
“웹젠 169억 배상” 엔씨 리니지M 표절 소송 2심 승소 게임메카
마이크로닉스 '성능과 감성, 그 이상을 말하다' 2025 신제품 발표회 개최 (1) 다나와
다나와, 국내 D램 소매 가격 상승세 뚜렷…”앞으로 더 오른다” (2) 다나와
AI 경쟁력 올리는 컴투스, 내부 전문 조직 신설 및 소이랩엑스와 업무 협약 체결 게임동아
메르세데스-벤츠, 2세대 완전변경 GT 및 최상위 15개 모델 서울모빌리티쇼 공개 오토헤럴드
기아,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PBV 등 14개 부문 미래 모빌리티 핵심 인재 오토헤럴드
현대차그룹, AI 엔드 투 엔드 자율주행 기술력 ‘2025 자율주행 챌린지’ 개최 오토헤럴드
혼다코리아 ‘2025 한국산업 브랜드파워’ 모터사이클 부문 23년 연속 1위 달성 오토헤럴드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래 모빌리티 선도할 신제품과 신기술 대거 공개 오토헤럴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4월 2일 이후가 굉장히 중요한 시기" 오토헤럴드
테슬라, 모델 Y 주니퍼 불과 300km 주행하고 폐차장 '에어백은 왜 안터져?'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리비안 전기 자전거 등장?' 마이크로모빌리티 사업부 분사 오토헤럴드
혼다코리아,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모터사이클 부문 23년 연속 1위 달성 글로벌오토뉴스
[영상] KGM의 첫 하이브리드, 토레스 하이브리드 시승기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자동차그룹 ‘2025 자율주행 챌린지’ 대회 개최 글로벌오토뉴스
자동차 업계, 노사관계 정상화 호소 글로벌오토뉴스
마일레(MEYLE), 한국 고객 위해 공식 커뮤니케이션 활동 시작한다 글로벌오토뉴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