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브로드밴드가 현존 가장 빠른 속도인 2.5기가(2.5Gbps) 인터넷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
SK브로드밴드(사장 이형희)는 1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마트폰, 태블릿PC, 인공지능(AI) 스피커, 와이파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의 동시 사용과 대용량 콘텐츠가 급증하는 인터넷 사용 환경 변화에 맞춰 가구당 2.5기가, 단말별 1기가의 속도를 제공하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기가 프리미엄’를 런칭한다고 밝혔다.
기가 프리미엄은 기가비트-수동형 광네트워크(G-PON) 전송기술을 적용, 별도의 케이블 증설이나 교체 없이도 가구당 2.5기가 대역폭의 인터넷 제공이 가능하다. 여러 단말을 이용해도 단말별 최고 1기가 속도를 보장한다.
덕분에 3개의 단말이 동시 연결된 상태에서도 약 15기가 용량의 UHD급 영화 콘텐츠를 단 2분 24초 만에 다운로드 가능하다.
SK브로드밴드에 따르면 국내 경쟁사의 경우 가구당 1기가 대역폭의 인터넷을 제공하는 이더넷-PON 기술을 적용하고 있어 다수의 단말 이용시 G-PON보다 서비스 속도가 떨어진다. 또 G-PON은 광케이블 1코어로 최대 52.5Gbps 속도까지 제공이 가능하고 128고객까지 수용할 수 있는 반면 E-PON은 최대 11Gbps 속도에 수용 고객수도 64고객 수준이다.
![]() |
최대 강점은 랜카드 교체 등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기존에 사용 중인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부분이다.
특히 SK브로드밴드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1인당 보유 단말 대수가 증가하고 동영상 시청 등으로 데이터 사용이 늘면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 와이파이 서비스를 함께 묶어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했다.
아울러 업계 최초로 모든 기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최저보장속도(SLA) 기준을 최고속도 대비 30%에서 50%로 높임으로써 한층 안정적 인터넷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번 2.5기가 상용화는 10기가 인터넷 상용화의 신호탄이다. SK브로드밴드는 지난해 2월 서울과 안양지역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 10기가 인터넷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바 있으며 추가적인 기술 고도화와 안정화를 거쳐 올 하반기 중 5기가와 10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공식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이미 하나의 광코어로 최대 52.5Gbp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차세대 인터넷 전송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으며, 오는 2020년까지 100Gbps 이상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유지창 SK브로드밴드 인프라부문장은 “지난 20년간 축적해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2.5기가 속도의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게 됐다”며 “2.5기가 출시를 기점으로 다가올 10기가 서비스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SK브로드밴드는 이번 기가 프리미엄 출시에 맞춰 기가 인터넷과 와이파이 통합상품인 ‘기가 프리미엄+와이파이’를 출시했다. 요금은 IPTV(B tv 프라임) 결합, 3년 약정 기준 월 3만9,600원이다. 유선전화, IPTV와 결합하거나 SK텔레콤의 이동전화와 결합하면 최대 30%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
![]() |
ⓒ Techholic(http://www.techholic.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