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카 박홍준 기자] 르노삼성의 부분파업이 장기화됨에 따라 지역 협력업체가 ‘줄도산’을 우려하고 있다.
2일 부산상공회의소가 발간한 ‘르노삼성차 파업 관련 현황 및 협력업체 긴급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10월부터 진행된 부분 파업으로 협력업체들의 조업 단축 및 중단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르노삼성차는 부산 매출 1위 기업이고 수출도 20% 이상 차지할 정도로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기업인만큼 이번 사태 장기화로 인한 피해규모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며 “노사가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하루 빨리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촉구했다.
■ 노사 갈등 속출..고용 유지 지원금 신청도 막막

르노삼성에 서스펜션을 납품하고 있는 A사는 납품 물량이 평소 대비 15% 가량 감소했다. 이 업체는 생산 부품의 60%를 르노삼성에 공급하는 업체로, 생산 감소로 작업 시간이 축소됨에 따라, 급여도 2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A사 관계자는 “생산 감소로 급여가 줄면서 퇴사자가 발생하는 등 생산 현장의 동요가 심하다”며 “구인에 있어서도 르노삼성 협력업체들에 대한 취업 기피 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시트를 납품하는 B사는 생산품 전량을 르노삼성에 공급하고 있다. 사실상 르노삼성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회사인 만큼, 손실도 크다는 설명이다.
B사 관계자는 “납품이 줄며 유휴 인력이 발생하고 있지만 통상임금은 지급되고 있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B사는 현재 하루 평균 4시간의 근무 체계를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엔진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C사는 노사간의 갈등까지 겪고 있다. 이곳 또한 생산 전량을 르노삼성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다. 사태가 악화될 경우, 이 업체는 해당 공장을 정리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C사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은데다 르노삼성 납품 물량도 40% 가량 감소했다”며 “이에 300%에 달하는 근로자 상여금을 일괄 삭감하면서 노사간의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고 하소연 했다.
D사는 지난 달에도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을 포기했다. 파업이 불규칙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휴업 계획을 제대로 세울 수 없기 때문이다. D사 측은 “매일매일 생산과 파업 계획을 확인하는 상황이라,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을 3월에도 포기했다”고 밝혔다.
■ 수출차 감소 통보..XM3 앞길도 ‘안갯속’

이런 가운데, 르노삼성은 닛산으로부터 올해 배정된 로그의 위탁 생산 물량을 20% 줄이겠다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수탁 물량은 8만대로, 당초 연 평균 10만대 대비 20% 적은데다, 이 마저도 추가 감산 하겠다는 결정이다. 르노에 대한 납품 비중이 높은 협력업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로그의 후속 생산 차종 배정이 완료되지 않은 점도 안갯속 전망을 더한다. 당초 협상 기한은 3월 8일로 예고됐지만,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함에 따라, 신차 배정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로그의 위탁 생산은 오는 9월 만료되는 것으로 예정됐다. 후속 생산 차종이 배정되지 않는다면, 르노삼성은 연간 10만대 가량의 ‘생산 공백’을 맞게 된다. 이에 따른 인력 감원과 대규모 구조조정은 물론, 협력업체들의 피해도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대체 생산 차종으로 논의됐던 XM3 또한 스페인 공장으로의 생산 이전이 논의되고 있는 상태다. XM3의 부산 생산이 불발될 경우, 르노삼성 부산공장은 내수 차량 생산 공장으로 전락하게 된다.
한편, 르노삼성은 지난 해 연간 판매량인 22만7577대 중 13만7208대를 해외 시장에 수출했다. 이는 르노삼성 연간 실적의 60%를 차지하는 규모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기사 ]
▶ 현대차가 만우절에 공개한 ‘스타렉스 N’..SNS서 화제
▶ 현대차 쏘나타, 8일 출고 재개..“진동·소음 품질 해결”
▶ 지프, 랭글러 등 연내 신차 6종 투입 계획..“1만대 판매 자신”
▶ [서울모터쇼] SUV의 홍수 속..‘변화’ 추구한 세단의 반란
▶ 전기차 ‘아이오닉 일렉트릭’..美서 테슬라 제치고 ‘연비왕’ 등극
▶ 유럽시장서 가장 결함이 많은 중고 SUV..과연 불명예 1위는?
▶ 포르쉐 트랙터(?)..자동차 업계의 만우절 장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