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벤츠 E 클래스 페이스 리프트의 디자인

글로벌오토뉴스
2020.11.05. 14:04:51
조회 수
2,331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벤츠 E클래스의 5세대(W213)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 시판되기 시작했다. 새 모델은 최근의 벤츠의 디자인 변화 경향을 보여주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017년에 등장했던 5세대 E 클래스는 곡면을 대거 채용한 차체 형태와 뒤로 갈수록 낮게 떨어지는 이미지의 캐릭터 라인, 이른바 드로핑 라인(dropping line)을 가진 차체 형태로 나왔었다.


글 / 구상 (자동차 디자이너, 교수)







그 전에 2009년형으로 나왔던 W212 E클래스가 직선적이면서 적은 볼륨감을 가진 디자인이었던 것에서 크게 바뀌어 나온 것이었다. 이 4세대 W212모델의 차체 디자인이 다소 평면적이고 볼륨이 적어 빈약해 보였던 터라 2017년에 등장한 5세대 모델의 볼륨감 있는 차체는 퍽이나 다행스럽게 어필 됐었다.





그렇지만 E클래스와 C 클래스가 서로 너무 닮아 있어서 한 눈에 구분하기가 쉽지 않을 정도였다. 특히 신형의 C-필러가 보는 각도에 따라서는 매우 가늘게 보이기도 해서, 벤츠의 중형 승용차로서의 존재감을 심어주지 못하는 인상이 있긴 했다.


페이스 리프트 이전의 5세대 E-클래스는 전장 4,925mm와 전폭 1,850mm, 전고 1,450mm에 휠 베이스 2,940mm로, 준대형급에 달하는 크기였지만, 더 작은 C클래스와 헷갈리는 디자인이라는 것은 장점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게다가 곡면을 가진 차체는 보는 각도에 따라 짧아 보이기도 해서 길이 치수에서 약간 손해를 보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물론 페이스 리프트 모델의 치수는 기존의 치수에서 크게 변경되지 않는 것이 통례이므로 기본적인 스펙은 거의 동일할 것이다.







E클래스 페이스 리프트 디자인은 리프레시(refresh)의 의미가 큰데, 이는 그만큼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각이 달라졌다는 의미일 것이다. 여기에 메이커 내부의 디자인 콘셉트 전략의 변화도 보여준다. 페이스 리프트 된 E클래스의 앞모습은 변화를 가장 명확히 보여준다. 바뀌기 전의 앞 모습은 라디에이터 그릴이 위가 넓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 사다리꼴 형태였지만, 페이스 리프트 모델은 위쪽을 약간 좁혀서 마치 육각형처럼 보이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헤드램프의 형태도 바뀌었는데, 전체 램프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안쪽으로 오면서 좁아지는 형태가 됐다.







그런데 이렇게 안쪽으로 오면서 좁아지는 형태는 테일램프에서도 동일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전의 테일 램프의 형태 비례가 가로 세로의 비율이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것이었던 데에 비해 페이스 리프트 된 테일 램프 모습은 슬림 한 이미지이다. 그리고 트렁크 리드에까지도 연결된 이미지의 별도의 램프 렌즈가 적용돼 있다.





물론 이전의 테일 램프 디자인은 상급의 S클래스와 같은 것이었지만, 이는 아래 급의 C클래스에도 적용된 것이어서 전체적인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는 유지할 수 있었지만, 차종 별로 구분되는 이미지를 가지기는 어려웠다. 그런데 이렇게 바뀌어서 E클래스의 구분이 확연하게 됐지만, 곧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S클래스의 풀 모델 체인지 모델 역시 이런 분위기의 테일 램프 디자인으로 나올 것으로 보여 다시 차별화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디자인 아이덴티티 문제는 정답이 없는 것이다. 브랜드 중심으로 가는 프리미엄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전략은 필연적으로 차종 간의 구분은 모호해 질 개연성을 가지게 되지만, 이전의 벤츠 모델들을 보면 브랜드 전체적인 통일성을 가지는 듯 하면서도 각 클래스 별로 확연히 구분되는 시기가 있었다.





가령 1990년대의 벤츠는 S, E, C클래스가 혼동될 일이 절대 없는 디자인이면서 오히려 S클래스는 존재감과 첨단의 기술을 암시하는 디자인을 보여줬었고, E클래스는 개성 있으면서 젊은 엘리트를 상징하는 둥근 헤드 램프를 대표적으로 내세우는 디자인이었다. 그야말로 각 클래스 별로 전형적인 벤츠의 모습들이었다. 그렇게 클래스 별로 상당히 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이 산만함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오히려 각각의 클래스의 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른 적절한 변화였다.





그렇지만 오늘날의 벤츠는 물론 차량의 유형이 완전히 다른 경우, 예를 들어 SUV와 2도어 쿠페 등에서는 어느 정도의 차이점을 보여주지만, 세단들은 상당히 유사한 인상이다. S, E, C 등으로 구분되는 세단들은 약간 과장해서 표현한다면 같은 디자인에서 대, 중, 소 정도의 구분이라고밖에 보이지 않는다.





앞으로 시간이 다시 지나서 지금 모델들의 세대 교체가 이루어질 때가 되면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사이에 등장했던 각 클래스 별 개성을 한껏 강조했던 개성적 디자인의 부흥을 보게 되기를 바래 본다.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획일성(劃一性, uniformity)보다는 통일성(統一性, unity)이 필요하다. 즉 다양성 속에 은연중에 나타나는 통일성(unity in variety)이 바로 진정한 브랜드 중심의 통일성을 가진 아이덴티티일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SK텔레콤 오픈 1R, 안개로 연기…2개 대회 연속 54홀 경기하나 연합뉴스
8,900만 스팀 이용자 계정 털렸다? 밸브 “해킹 아냐” 게임메카
[순위분석] 버닝 효과 주춤? 메이플스토리 역대급 하락 게임메카
헬다이버즈 2, 일루미닛 함대의 슈퍼지구 재침공 시작 게임메카
‘승리의 여신: 니케’에 신규 SSR 지원형 니케 ‘아르카나’ 왔다! 게임동아
[오늘의 스팀] 경찰판 GTA, 신작 ‘더 프리싱트’ 판매 2위 게임메카
현대차 "사막을 뚫는다" 사우디 국부펀드와 중동 지역 첫 생산공장 착공 오토헤럴드
고령운전자 64.0% 운전능력 평가 강화 원해... 맞춤형 안전장비 지원해야 오토헤럴드
IEA, 올해 글로벌 전기차 2000만대 돌파 전망... 中 전체 수요의 60% 차지 오토헤럴드
중국산 인버터 '백도어' 발견... 수천 대 전기차 동시에 원격 조작당할 우려 오토헤럴드
르노코리아, 임직원 3인 ‘자동차의 날’ 국무총리표창 및 장관표창 수상 오토헤럴드
BMW 고성능 M 역동적 퍼포먼스 즐기자 ‘BMW M FEST 2025’ 개최 오토헤럴드
페라리, V12 최초 슈퍼카 F50 출시 30주년 ‘F50 레거시 투어 2025’ 개최 오토헤럴드
BMW의 아이덴티티, BMW i4 M50 xDrive 시승기 글로벌오토뉴스
오펠, 2025년 GSE 브랜드 전기차 전환…'감성+퍼포먼스' 강조 글로벌오토뉴스
지프, 2025-2026 시즌부터 유벤투스 공식 스폰서로 복귀 글로벌오토뉴스
'이것이 진짜 이탈리아 클래식 레이싱카' 알파로메오, 전설의 명차 총출동 글로벌오토뉴스
폴스타, 2025년 1분기 매출 84% 급증…손익 개선 가시화 글로벌오토뉴스
폴스타, 중고차 구매 신뢰도 높이는 ‘배터리 상태 인증서’ 도입 글로벌오토뉴스
혼다, 캐나다 전기차 공장 건설 계획 보류 글로벌오토뉴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