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염색과 탈색의 시대?! 맥주병은 왜 투명해졌을까?

2021.05.07. 09:23:32
조회 수
2,522
11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주류유교, 술에는
그것에 맞는 색깔이 있는 거 아닙니까?!

병의 색깔과 모양만 보고도 어떤 술인지 맞출 수 있던 시기가 있다. 맥주병과 와인은 갈색, 소주병은 초록색, 위스키나 보드카는 투명한 색깔이었다. 딱히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없었다. 조상님들(?)이 만들었으니 이유가 있을 것이야!…라면서 고개를 끄덕이던 그런 시절이었다.

(비타민 음료 또한 성분 변질을 막기 위해 갈색병에 담긴다)

음료의 병에 색깔이 들어가는 것은 기본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여 품질을 지키기 위함’이다. 맥주나 와인의 경우는 특히 맥주는 자외선을 받아 온도가 올라가면 맛이 떨어지고 때로는 향이 변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알코올 도수가 높아 변질의 위험이 없는 소주, 위스키, 보드카 등은 투명한 병을 사용해도 변질의 위험이 없다. 

그런데 왜 소주가 초록색이냐고? 뭔가 초록색을 보며 마시면 기분이 좋거든요.



국산맥주는 갈색, 
수입맥주는 초록색이라고

보통 맥주병은 크게 갈색과 초록색으로 나뉘어 볼 수 있다. 두 가지 색상 모두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점이 있었다. 카스나 하이트 같은 맥주병들은 다 갈색인데, 하이네켄이나 칼스버그 같은 유럽에서 온 해외 맥주들은 왜 초록색 병인 것일까?

이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에 갈색 유리 공급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유럽의 양조자들은 기존에 쓰던 갈색 유리병을 쓰지 못하자 짙은 초록색 병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유럽에서 온 맥주는 초록색이다’에서 ‘맛있는 맥주는 초록색이다’로 이어져서 초록색 병의 맥주가 인기를 끌게 되었다고 한다.

 특히 금주법이 해제되자마자 수입된 ‘하이네켄’이 미국 내에서 인기를 끈 이유로도 초록색의 특별한 맥주병의 색깔이 한 몫했다고. 


초록색과 투명색, 
카스테라 맥주대전은 병 색깔?

올해의 승부수를 던진 ‘카스’의 가장 큰 변화는 병 색깔이 투명하게 변했다는 것이다. 기존에 ‘카프리’나 ‘코로나(?)’ 같은 투명한 병에 담기는 맥주들도 있었지만 대중적인 맥주인 카스가 투명해진 것은 시각적으로 큰 충격을 주게 되었다. 이름도 바꿨다 ‘올 뉴 카스’

때문에 같은 카스라도 새롭게 보인다. 기존에 카스가 가지고 있는 ‘청량함’이라는 키워드를 투명한 병으로 강조하되, 색상에 있어서도 라이벌인 ‘테라’와 차별화를 하겠다는 의도가 아닐까? 

(병부터 모델까지 카스테라 맥주대전은 올해도 이어진다)

물론 이렇게 병을 바꾸다가 맛이라도 변질이 되면 큰일이다. 카스에서는 앞서 말한 자외선에 의한 변질은 ‘정제된 홉’을 통해서 막았다고. 이미 외국에서는 홉을 특수처리하거나, 유리에 자외선 차단 코팅을 적용하는 등으로 투명한 맥주병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한국 맥주의 3파전은 초록의 테라, 투명의 카스, 갈색의 클라우드의 색깔대전이 되어버린 것이 함정.


사람도 맥주도 같다,
색깔이 달라지면 반응이 달라진다

맥주 이야기 같지만 사람 이야기 같기도 하다. 사람이 마음이 중요하다고 해도 염색만큼 충격적인 게 있던가. 마시즘 역시 어린 시절 빨간색으로 염색을 했다가 큰 주목을 받은 적이 있었다(비호감이라고). 맥주의 경우는 보이는 것이 곧 선택이 되고, 맛과 브랜드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니까. 

다르게 생각해보면 맥주병의 색깔이 바뀌었다는 것은 ‘새로워지겠다’라는 맥주의 마음가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더욱 기대된다. 갈색에서 염색과 탈색(?)을 해가는 맥주회사들의 변화들이.

염색과 탈색의 시대?! 맥주병은 왜 투명해졌을까? 마시즘.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구글, 저가형 ‘AI 플러스’ 요금제 40여 개국으로 확대...챗GPT와 신흥국 시장 확대 경쟁 중 다나와
라온시큐어 “웹3·AI 융합으로 데이터 주권 실현” IT동아
더이상 연기는 없다. 펄어비스 '붉은사막' 내년 3월 19일 출시 확정 게임동아
챗GPT로 만든 가짜 스마트폰 사용 데이터, 실제와 얼마나 비슷할까? AI matters
"AI가 쥐만 못해?"… 쥐의 뇌 활동 데이터로 AI 시각 능력 평가하는 새 벤치마크 등장 AI matters
AI가 인간 가치관 바꿀 수도... 영국 대학 연구진 "지속 관리 필요" AI matters
AI 답변 속 광고 심는 기술 vs 탐지 기술… AI 챗봇 답변 속 숨은 광고, 알아차릴 수 있을까? AI matters
"예측 가능한 글만 살아남는다"... AI 검색이 웹사이트를 선택하는 기준 AI matters
"AI 도구 도입하면 끝?" 착각하는 회사들... 구글이 알려주는 AI 도입 성공 전략 7가지 AI matters
[Q&AI] 박찬욱 신작 '어쩔 수가 없다' 개봉... SNS 반응은? AI matters
‘복잡한 수식·차트까지 점자로’… AI 점역 솔루션으로 혁신상 받은 솔트웨어, CES 2026 출품까지 확정 AI matters
AI 챗봇, 철회된 과학논문 인용해 답변 제공… "철회 사실 전혀 언급 안 해" AI matters
엔비디아, UAE에 AI·로봇 공동연구소 설립 AI matters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 5곳 추가 건립 AI matters
라 메르, 소크 연구소와 파트너십…바이오 에너지 연구 본격화 뉴스탭
삼양 ‘불닭볶음면’, 전 세계 판매량 80억 개 돌파…K-스파이시 대표 브랜드로 뉴스탭
“모두 같은 출발선에서”, 로스트아크에 새로운 시즌제 전투 콘텐츠 ‘낙원’ 등장 게임동아
펄어비스, 검은사막 ‘시즌(V)’ 오픈… 초고속 성장 보상 대공개 뉴스탭
조텍코리아, RTX 5090 구매자 위한 ‘한강 디너 크루즈’ VIP 이벤트 개최 뉴스탭
카카오게임즈 '오딘' 신규 정예 던전 ‘망각의 신전’ 업데이트 게임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