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국산차 부식 줄었지만 수입차와 격차는 그대로

글로벌오토뉴스
2021.10.27. 14:36:33
조회 수
547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국산차 품질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부식 발생 부위 수가 최근 2년 새 30% 감소했음에도 수입차와의 격차는 여전히 2~4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수입차 부식 발생률도 국산 이상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국산차의 초기품질 만족도가 수입차를 앞지를 정도로 좋아지고 있음에도 내구품질은 여전히 큰 약점이며 그 중에서도 부식 문제는 가장 심각하다.

자동차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연례 자동차기획조사'에서 새 차 구입 후 1년 이상 경과한 소비자(국산 2만31명, 수입 2914명)의 부식 발생 경험을 부위별로 묻고 ‘100대 당 부식 발생 수(CPH; Corrosion Per Hundred)’를 산출했다. 보유기간은 ▲1~5년 ▲6~10년 ▲11년 이상으로 나눠 시기별 발생 추이도 비교했다.


■ 국산차 VS 수입차 : 발생비율은 국산이 최대 4배로 여전히 격차 커
2021년 국산차 CPH는 사용기간 별로 ▲1~5년은 11건 ▲6~10년은 27건 ▲11년 이상은 58건이었다. 5년차까지 10대 중 1대꼴로 발생하던 부식 건수가 6~10년차에서는 4대 중 1대, 11년차를 넘으면 2대 중 1대 이상에서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2019년에 비해 각각 4건(26%), 12건(32%), 24건(29%) 감소한 수치다[그림].


수입차는 ▲1~5년 5건 ▲6~10년 9건 ▲11년 이상 14건으로 2019년 대비 각각 3건(37%), 2건(18%), 7건(33%) 감소했다. 국산·수입 모두 상당한 수준의 부식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감소 건수는 국산이 훨씬 많았지만 감소폭은 수입차가 6~10년차를 제외하곤 오히려 더 컸다. 국산 이상으로 수입차의 부식 내구성도 향상된 것이다. 사용기간별로 국산이 수입차보다 1~5년에서는 2.2배, 6~10년에서는 3배, 11년 이상에서는 4.1배 많아 2019년(각각 1.9, 3.5, 3.9배)과 엇비슷했다. 전체 평균으로는 2019년 3.8배에서 올해 3.6배로 다소 줄어들었어도 여전히 큰 차이를 보였다.





■ 브랜드 별 비교 : 기아가 현대차보다 더 크게 개선돼
국산차 브랜드별 비교에서도 이전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모든 브랜드, 모든 사용 연차에서 부식발생 건수가 감소했으며 브랜드 별 순위 변동도 크지 않았다. 압도적인 판매 점유율을 차지하는 현대차와 기아가 부식 측면에서는 중견3사에 비해 오히려 열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전과 같았다.


현대차와 기아는 2019년 사용기간별 부식 건수가 거의 비슷했으나 올해는 현대가 기아보다 다소 뒤처지는 모습이다. 현대차는 ▲1~5년 13건(2019년 대비 -4건) ▲6~10년 33건(-9건) ▲11년 이상 60건(-28건)으로 개선됐으며, 기아는 각각 10건(-7건), 28건(-14건), 64건(-23건)으로 더 크게 개선되면서 11년차 이상을 제외하고는 현대차를 앞섰다[표].


르노삼성과 한국지엠은 국산차 중 부식 측면에서 여전히 강점을 보이고 있다. 르노삼성은 특히 11년 이상 차령에서는 37건으로 국산 브랜드 전체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였다. 다만 1~5년, 6~10년에서는 올해 한국지엠에 역전을 허용했다.


쌍용은 1~5년, 6~10년에서는 현대 기아를 다소 앞섰으나 11년 이상에서 83건으로 국산 모든 브랜드 중 가장 취약했다.


국산차에서 부식이 가장 많이 발생한 부위는 배기통(머플러)으로 전체 사용기간 평균 5.3건에 달했다. 도어(문짝)도 4.5건으로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뒷바퀴 펜더와 하체 프레임(각각 3.2건)이었다.


국산차는 올해 초기 품질에서 수입차 평균을 처음 추월하는 등 크게 개선되고 있지만 내구 품질에서는 아직도 많이 뒤졌다(참고.2021년 자동차 기획조사 보도자료 ②). 내구 품질 중에서도 부식 문제는 국산차의 고질적 약점으로, 오랫동안 소비자의 주요 불만사항으로 지적돼 왔다.



최근 수입차와의 발생 건수 차이가 줄어들고 사용 기간이 오래된 차일수록 개선효과가 크다는 점은 국산차 제조사의 장기간에 걸친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수입과의 차이는 최대 4배 이상이어서 수입차를 따라잡는 데는 상당한 시간과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 부식에 관한 소비자의 오래된 불신을 바로잡는 데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위클리AI] MS, 이미지 생성 모델 도전장…오라클 AI 슈퍼 컴퓨터 공개 IT동아
7년간의 여정 끝, EA '심즈 모바일' 서비스 종료 발표 게임메카
[오늘의 스팀] 벽돌깨기 신작 볼 x 핏, 평가 ‘압긍’ 게임메카
킹덤 컴 2 개발사와 아틀러스 등, 지스타 출전사 추가 공개 게임메카
스팀 동접만 19만 명, ‘아크 레이더스’ 기대작 관심 증명 게임메카
AI뉴스 앤트로픽 Skills, 4.5 하이쿠, 챗GPT 성인 콘텐츠, Veo 3.1, 일론머스크 AGI, World Labs RTFM, 면도 로봇 등 동영상 있음 조코딩 JoCoding
애플 Siri, 핵심 인력의 이탈과 미흡한 완성도로 끊이지 않는 논란...출시 연기될 가능성도 (2) 다나와
美월마트, 'AI 퍼스트(first) 쇼핑경험 도입' 위해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 다나와
구글, 세포의 유전자 정보를 문장처럼 바꿔 해독하는 AI 모델 공개 다나와
BMW 모토라드, ‘인터내셔널 GS 트로피 2026’ 한국 대표팀 최종 선발 오토헤럴드
현대모비스, 생성형 AI 서비스 ‘MoAI' 오픈…검색 한방으로 업무 효율 향상 오토헤럴드
BMW 모토라드, ‘인터내셔널 GS 트로피 2026’ 한국 대표팀 최종 선발 글로벌오토뉴스
볼보자동차, SPA 플랫폼 기반 차량 누적 생산 400만 대 달성 글로벌오토뉴스
지프·푸조, 할로윈 맞아 '드라이브 오어 트릿' 전시장 이벤트 개최 글로벌오토뉴스
만트럭버스코리아, 고객 신뢰로 불황 돌파…서비스·금융·디지털 혁신으로 상용차 시장 대응 글로벌오토뉴스
한국타이어, 쿠프라 전기 해치백 ‘본’에 전용 타이어 공급 글로벌오토뉴스
K-CRASH EDGE 2025, 현실 속 안전기술을 논하다…대구서 실차 사고 재현 시연 글로벌오토뉴스
7년 간 서비스되던 ‘심즈 모바일’, 내년부터 서비스 종료 게임동아
[가이드] 신서버 오픈한 삼국지 군주전. 신규, 복귀 이용자들을 위한 빠른 성장 비법은? 게임동아
"성범죄자 왜 안막나?" 플로리다 법무장관 '로블록스' 수사 확대 게임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