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국산차 부식 줄었지만 수입차와 격차는 그대로

글로벌오토뉴스
2021.10.27. 14:36:33
조회 수
540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국산차 품질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부식 발생 부위 수가 최근 2년 새 30% 감소했음에도 수입차와의 격차는 여전히 2~4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수입차 부식 발생률도 국산 이상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국산차의 초기품질 만족도가 수입차를 앞지를 정도로 좋아지고 있음에도 내구품질은 여전히 큰 약점이며 그 중에서도 부식 문제는 가장 심각하다.

자동차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연례 자동차기획조사'에서 새 차 구입 후 1년 이상 경과한 소비자(국산 2만31명, 수입 2914명)의 부식 발생 경험을 부위별로 묻고 ‘100대 당 부식 발생 수(CPH; Corrosion Per Hundred)’를 산출했다. 보유기간은 ▲1~5년 ▲6~10년 ▲11년 이상으로 나눠 시기별 발생 추이도 비교했다.


■ 국산차 VS 수입차 : 발생비율은 국산이 최대 4배로 여전히 격차 커
2021년 국산차 CPH는 사용기간 별로 ▲1~5년은 11건 ▲6~10년은 27건 ▲11년 이상은 58건이었다. 5년차까지 10대 중 1대꼴로 발생하던 부식 건수가 6~10년차에서는 4대 중 1대, 11년차를 넘으면 2대 중 1대 이상에서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2019년에 비해 각각 4건(26%), 12건(32%), 24건(29%) 감소한 수치다[그림].


수입차는 ▲1~5년 5건 ▲6~10년 9건 ▲11년 이상 14건으로 2019년 대비 각각 3건(37%), 2건(18%), 7건(33%) 감소했다. 국산·수입 모두 상당한 수준의 부식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감소 건수는 국산이 훨씬 많았지만 감소폭은 수입차가 6~10년차를 제외하곤 오히려 더 컸다. 국산 이상으로 수입차의 부식 내구성도 향상된 것이다. 사용기간별로 국산이 수입차보다 1~5년에서는 2.2배, 6~10년에서는 3배, 11년 이상에서는 4.1배 많아 2019년(각각 1.9, 3.5, 3.9배)과 엇비슷했다. 전체 평균으로는 2019년 3.8배에서 올해 3.6배로 다소 줄어들었어도 여전히 큰 차이를 보였다.





■ 브랜드 별 비교 : 기아가 현대차보다 더 크게 개선돼
국산차 브랜드별 비교에서도 이전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모든 브랜드, 모든 사용 연차에서 부식발생 건수가 감소했으며 브랜드 별 순위 변동도 크지 않았다. 압도적인 판매 점유율을 차지하는 현대차와 기아가 부식 측면에서는 중견3사에 비해 오히려 열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전과 같았다.


현대차와 기아는 2019년 사용기간별 부식 건수가 거의 비슷했으나 올해는 현대가 기아보다 다소 뒤처지는 모습이다. 현대차는 ▲1~5년 13건(2019년 대비 -4건) ▲6~10년 33건(-9건) ▲11년 이상 60건(-28건)으로 개선됐으며, 기아는 각각 10건(-7건), 28건(-14건), 64건(-23건)으로 더 크게 개선되면서 11년차 이상을 제외하고는 현대차를 앞섰다[표].


르노삼성과 한국지엠은 국산차 중 부식 측면에서 여전히 강점을 보이고 있다. 르노삼성은 특히 11년 이상 차령에서는 37건으로 국산 브랜드 전체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였다. 다만 1~5년, 6~10년에서는 올해 한국지엠에 역전을 허용했다.


쌍용은 1~5년, 6~10년에서는 현대 기아를 다소 앞섰으나 11년 이상에서 83건으로 국산 모든 브랜드 중 가장 취약했다.


국산차에서 부식이 가장 많이 발생한 부위는 배기통(머플러)으로 전체 사용기간 평균 5.3건에 달했다. 도어(문짝)도 4.5건으로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뒷바퀴 펜더와 하체 프레임(각각 3.2건)이었다.


국산차는 올해 초기 품질에서 수입차 평균을 처음 추월하는 등 크게 개선되고 있지만 내구 품질에서는 아직도 많이 뒤졌다(참고.2021년 자동차 기획조사 보도자료 ②). 내구 품질 중에서도 부식 문제는 국산차의 고질적 약점으로, 오랫동안 소비자의 주요 불만사항으로 지적돼 왔다.



최근 수입차와의 발생 건수 차이가 줄어들고 사용 기간이 오래된 차일수록 개선효과가 크다는 점은 국산차 제조사의 장기간에 걸친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수입과의 차이는 최대 4배 이상이어서 수입차를 따라잡는 데는 상당한 시간과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 부식에 관한 소비자의 오래된 불신을 바로잡는 데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코나미, 호러 시리즈 신작 '사일런트힐 f' 정식 출시 게임동아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신규 헌터 '성일환' 업데이트 게임동아
해긴, '플레이투게더'에 나만의 농장 '마이팜' 업데이트 게임동아
아큐라, 첫 전기 SUV ZDX 생산 종료… 차세대 EV ‘RSX’에 집중 글로벌오토뉴스
벤틀리, 전기차 전환 계획 다시 연기 글로벌오토뉴스
테슬라, ‘로봇 사고’로 또다시 논란… 직원 5,100만 달러 손해배상 소송 제기 글로벌오토뉴스
포드, 머스탱 하이브리드 개발 착수 글로벌오토뉴스
BMW, i4 후속 모델 암시? 의문의 티저 이미지 등장 글로벌오토뉴스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 단종 연기 글로벌오토뉴스
[TGS 2025] 블랙스톰 김도윤 대표 "리메멘토는 감성과 전략의 조화를 이룬 게임입니다." 게임동아
[TGS 2025] 길드 스튜디오 김태윤 대표 "한국 신화를 담은 다크 판타지 '남모'를 즐겨 주세요" 게임동아
[인터뷰] 페퍼스톤즈 하수영 대표 "'힙스 앤 노즈'로 카페 경영과 전투의 재미를 동시에 즐겨 보세요" 게임동아
혼자서도 되던데? 1인 개발로 100만 장 넘게 판 게임들! 게임동아
엔씨소프트 '리니지 리마스터', 27주년 업데이트 사전 등록 (1) 게임동아
넥슨 FC 온라인, ‘FSL 서머’ 결과 따라 선수 능력치 변하는 ‘25FSL’ 클래스 업데이트 게임동아
[체험기] 준수한 그래픽과 변화한 전투가 매력적 '포켓몬 레전즈 Z-A' 게임동아
"일본에서 공개되는 한국 게임의 현주소" 'TGS 2025' 성황리 개막 (1) 게임동아
[TGS 2025] ‘플레이투게더’로, 글로벌 무대에서 날개를 펼치는 '해긴' 게임동아
그라비티, 어드벤처 MMORPG ‘선경전설지약정호적모험’, 중국 출격! 게임동아
'에오스 블랙' 길드 협력 콘텐츠와 월드 던전 추가 게임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