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5배 빠르다는 와이파이7, 2024년 상용화 앞두고 관련 솔루션 속속 등장

2022.06.29. 09:11:57
조회 수
388
5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IT동아 김영우 기자] 와이파이(Wi-Fi)는 2022년 현재, 디지털 기기를 위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대표주자로 자리잡았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비롯한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나 스마트 에어컨과 같은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와이파이는 널리 적용되고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를 비롯한 다른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과 와이파이를 구분하는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 대역폭(데이터가 지나가는 통로)이다. 2022년 현재 시장의 주류를 이루는 와이파이6(802.11ax) 규격의 경우, 이론상 최대 9.6Gbps의 대역폭을 구현할 수 있다.

최대 2Mbps인 블루투스(5.0), 최대 250kbps에 불과한 대역폭을 발휘하는 지그비(3.0)에 비하면 이것이 얼마나 큰 차이인지 알 수 있다. 대신 블루투스나 지그비는 와이파이처럼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진 못하지만 소비전력이나 통신 모듈의 크기, 그리고 가격 면에서 이점이 있어 와이파이와는 다른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와이파이는 1997년에 첫 규격(802.11)이 제정된 이후, 4~5년 주기로 성능을 높인 새로운 버전이 등장했다. 현재의 와이파이6는 2018년에 첫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19년에 최종 규격이 확정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미디어텍은 와이파이7 관련 기술 및 제품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 중 하나다 (출처=미디어텍)

그리고 현재 와이파이6보다 성능이 향상된 와이파이7(802.11be) 규격이 개발 중이다. 와이파이 관련 단체의 연합체인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는 오는 2024년까지 와이파이7의 표준화를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와이파이7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역시 한층 향상된 데이터 전송속도다. 현재 공개된 와이파이7의 최대 대역폭은 46Gbps에 이르는데, 이는 현재의 와이파이6에 비해 5배가량 향상된 것이다. 이를 위해 와이파이7은 기존 와이파이6까지 이용하던 2.4GHz와 5.0 GHz 주파수 대역 외에 새로 6GHz 대역까지 이용한다.

참고로 6GHz 대역은 와이파이6의 확장 규격인 와이파이6E 규격에서 처음 지원한 바 있다. 와이파이6E는 데이터 대역폭이 와이파이6와 동일한 최대 9.6Gbps지만 한층 늘어난 채널을 이용하므로 신호 간섭도 적고, 더 많은 기기가 접속하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었다.

다만, 수치적인 통신 속도 면에서 와이파이6와 와이파이6E의 차이는 없기 때문에 그다지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는 이용자들이 상당수였다. 이러한 이유로 와이파이6E는 와이파이6에 비해 지원하는 공유기나 단말기의 수가 적은 편이며, 규격 자체의 인지도도 높지 않다.

하지만 와이파이7은 이용할 수 있는 채널 폭을 160MHz에서 320MHz까지 끌어올렸으며, 여러 채널을 함께 활용해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이 동시에 진행되는 MLO(Multi Link Operation) 기술까지 적용했다. 덕분에 무선 환경에서도 유선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대등한 수준의 속도와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브로드컴이 선보인 와이파이7 지원 칩세트 (출처=브로드컴)

와이파이7과 관련한 제품 및 서비스도 이미 하나 둘 등장하고 있다. 미디어텍(Mediatek)이 지난 1월 자사의 시험 제품을 이용해 와이파이7의 시연에 성공했으며, 4월에는 브로드컴(Broadcom)이 와이파이7을 지원하는 칩 세트의 샘플 제품을 선보인 바 있다.

그리고 퀄컴(Qualcomm)은 오늘(28일), 와이파이7을 지원하는 신형 RF 프론트엔드(RFFE) 모듈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RF 프론트엔드 모듈은 와이파이 칩과 안테나 사이에서 위치하며, 신호의 증폭 및 분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와이파이7의 표준 규격은 2024년에 확정될 예정이지만, 상당수의 관련 업체들이 빠르게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와이파이7를 지원하는 단말기나 공유기 제품은 2023년에 한 발 먼저 상용화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7의 이론상 최대 대역폭이 최대 46Gbps지만 제품에 내장된 안테나의 형태 및 칩의 종류, 그리고 소비전력 등의 변수로 인해 실제 시장에 출시된 제품의 실제 성능은 이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와이파이6 역시 이론상 최대 대역폭인 9.6Gbps을 실현한 상용제품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일부 최상위급 제품이 이론상 최대 대역폭의 절반 수준인 4.8Gbps 수준의 속도를 지원하고 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대원씨티에스, ASRock 메인보드 사용자 위한 '안심 케어' 서비스 시행 다나와
“AI가 가짜뉴스 잡는다”… X, 커뮤니티 노트에 AI 챗봇 투입 (1) AI matters
아마존, 창고 로봇 누적 100만 대 배치… AI 모델로 창고 자율주행 10% 향상 AI matters
네이버·KAIST가 발견한 AI 학습 비밀? 50% 난도로 훈련하면 성능 10배 향상 AI matters
"아니야, 그 명령은 위험해" AI가 인간의 명령을 거부해야만 하는 이유 AI matters
메타 AI, 인간처럼 보고 듣는 AI 로봇 공개... 구체화 AI 에이전트 시대 개막 AI matters
[Q&AI] 걸스데이 혜리 열애설… 상대는 누구? AI matters
대학생 47% "생성형 AI로 과제 작성"… AI 탐지 검출률은 88%뿐 AI matters
"AI 의사가 인간 의사보다 4배 정확"... MS 의료 AI, 80% 진단 성공률 달성 AI matters
챗GPT 사용량 2배 증가한 호주... 오픈AI, 연 102조 원 경제효과 발생 청사진 AI matters
AI 시대 뜨거운 감자 '보안 문제', 84%가 찾는 해결책은 엣지-클라우드 통합 AI matters
북한 해커들, 핵무기 자금 조달 위해 美 IT기업 직원으로 위장… 69억원 훔치려다 적발 AI matters
챗GPT 출시 후, 신입 일자리 1/3 감소… 소매업 78%, 다른 일자리도 절반 수준 (1) AI matters
2025년 기술업계 해고 계속된다... 상반기에만 2만 2천 명 감원 AI matters
메타, 2025년 7월 '초지능' 연구소 신설... 알렉산더 왕이 이끈다 AI matters
美 의회, 주 정부의 ‘AI 규제 권한’ 5년간 제한하는 법안 재추진… 찬반 격돌 AI matters
애플, 이번엔 시리에 챗GPT-클로드 탑재 검토… 자체 기술 한계 직면 AI matters
한국어는 챗GPT보다 낫다? 네이버, 추론 강화한 'HyperCLOVA X THINK' 공개 AI matters
구글, 교육용 AI 도구 30여 종 무료 제공... "AI 보조 교사 만든다" AI matters
플리토와 협력 나선 퓨리오사AI, AI 반도체는 왜 언어 데이터가 필요할까? IT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