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 쇼핑검색,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2022년 전 세계 신차시장, 인도가 일본 제치고 3위 부상

글로벌오토뉴스
2023.05.26. 12:38:46
조회 수
349
3
댓글 수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2022년 전 세계 신차 등록대수가 2021년보다 2% 감소한 7,940만대로 집계됐다. 자토 다이나믹스에 따르면 인도,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에 전세계 물량의 24%를 차지하며 북미, 유럽 및 중국에서 나타난 감소를 상쇄하기에 충분했다.

JATO다이나믹스 글로벌 애널리스트 펠리페 뮤노즈는 “이러한 감소는 두 가지 주요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첫째, 지속적인 공급망 차질과 북미와 유럽의 반도체 부족으로 인해 신차의 가용성이 감소하고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의 판매가 약화됐다”고 분석했다. 2022년에는 중국과 유럽, 북미 등 3개 지역의 매출이 전 세계의 69%를 차지했다.

이러한 문제 외에도 우크라이나에서 계속되는 전쟁도 쇠퇴에 기여했다. 제재의 결과로 러시아 시장은 판매량이 59% 감소하여 약 100만 대에 해당하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 러시아 시장은 NSC 및 OEM에서 벗어나 수입업체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다. 서구 브랜드의 철수는 중국이 2022년 세계에서 21번째로 큰 러시아 자동차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도 주목을 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인도의 수요는 24% 증가하여 437만 대를 등록하여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로 인해 인도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자동차 시장이 됐다.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구 1,000명당 판매된 차량은 3.1대에 불과해 상위 25대 차량 시장 중 가장 낮다.

인도 시장의 수요 증가에 대해 JATO다이나믹스의 사장 겸 이사인 라비 바티다는 신차 수요를 늘리기 위한 폐차 정책, 은행과 금융 기관의 경쟁력 있는 이율로의 대출 등이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재정적 인센티브, 전염병 이후 조치 및 혜택은 중동의 수요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의 신규 차량 등록은 지역 전체의 46%인 275만 대에 달했다. 세계에서 19번째로 큰 자동차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는 향후 10년 동안 500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통해 전기 자동차 생산의 허브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프리카 시장에서는 물량이 5.5% 증가한 115만 개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시장의 44%를 차지하는 대륙 최대 시장인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등록이 14%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북아프리카의 물량은 대륙 전체의 42%를 차지했고 남부 아프리카는 45%를 차지했다. 반면 동부, 중부, 서아프리카는 각각 4.8%, 1.3%, 6.7%를 차지했다.


배터리 전기차 판매 증가는 지속

한편 2022년 배터리 전기차의 총량은 전년 대비 66%에 달하는 290만 대 증가한 총 737만 대로 급증했다. 이는 2020년에서 2021년 사이의 240만 대 증가보다 크게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배터리 전기차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21년 5.5%에서 9.3%로 상승했다. 지역적으로는 중국과 유럽만이 각각 15.6%와 12.2%로 두 자릿수 시장점유율을 확보했다.

JATO의 글로벌 애널리스트 펠리페 뮤노즈는. “배터리 전기차 붐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관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내연기관 차량에서 전환하도록 장려하는 반면 OEM의 보다 저렴한 모델 도입 덕분에 평균 가격은 하락했다.”고 증가세의 이유를 분석했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노르웨이로 지난해 등록된 경형 자동차의 71%가 배터리 전기차였다. 2021년 24.4%에서 지난해 53.1%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 증가를 기록한 곳은 홍콩이었다. 홍콩은 최소 6년 이상 된 차량에 대한 스크랩 페이지 프로그램과 특정 가격까지 새 전기차에 대한 세금 면제로 인해 많은 소비자가 휘발유에서 전기차로 전환하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JATO다이나믹스는 그 배경을 설명했다.

중국은 전 세계 판매의 53%를 차지하는 규모 면에서 세계 최대 시장으로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는 전체 세계 신차 판매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인 32%보다 훨씬 큰 차이이다. 중국의 성공은 내연기관 모델보다 배터리 전기차의 대기 시간이 짧고 소비자를 위한 제안이 급증한 결과다. 2022년에는 중국에서 15개의 새로운 브랜드가 출시됐다. 테슬라는 2022년 판매가 43% 증가했지만 중국 OEM에 시장 점유율을 빼앗겨 3포인트 하락한 17.6%를 기록했다.


토요타, 중국시장 호조로 세계 시장 점유율 13%

2022년 토요타는 세계에서 가장 잘 팔리는 완성차업체였다 신차 100대 중 13대를 차지했다. 토요타는 미국과 일본을 제치고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의 강력한 결과 덕분에 세계 시장 점유율을 0.3포인트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이브리드와 SUV 모두에서 토요타의 강력한 제품 포트폴리오로 설명된다.

폭스바겐 그룹은 2021년과 마찬가지로 OEM 순위에서 토요타에 이어 2위를 차지했지만 물량은 10% 감소해 점유율은 0.7포인트 하락했다. 폭스바겐의 두 번째로 큰 시장인 중국에서는 현지 경쟁 심화로 매출이 6% 감소했지만 중국과 유럽 모두에서 선두 OEM을 유지했다.

현대기아차는 한국, 인도, 북미, 유럽 등에서 강력한 시장지위를 확보한 결과 3위를 차지했다. 현대기아차는 유럽, 미국 등의 경쟁사와 달리 상대적으로 판매 분포가 광범위해 글로벌 판매의 71%가 4개 지역에 걸쳐 있다. 4위는 스텔란티스로 10% 감소한 총 580만 대를 기록했다. 유럽에서는 차량 가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급망 문제로 인해 판매가 14%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텔란티스는 남미에서 가장 잘 팔리는 OEM이었다. GM은 460만 대를 판매하여 상위 5위로 마감했으며 쉐보레 브랜드가 전체의 62%를 차지했다(SAIC-Wuling과의 합작 투자 물량 제외).


2022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OEM은 BYD였다. 중국 OEM은 모든 주요 부문에 걸친 강력한 제품과 경쟁력 있는 EV 라인업 덕분에 세계 시장 점유율에서 1.5포인트를 얻을 수 있었다. BYD는 2022년에 전년 대비 184%에 달하는 91만 1,000대 가 증가해 테슬라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리는 배터리 전기차업체가 됐다. 스즈키, 마힌드라,, 타타 등 OEM의 경우 인도에서의 수요 증가는 판매량도 가속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테슬라는 2022년 출시 가능한 4개 모델 중 2개 모델을 상위 10위권에 올렸다. 53개 시장에 대한 JATO 다이나믹스의 데이터와 추가 95개 시장에 대한 추가 연구 및 추정치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 Y는 2022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이 팔린 승용차였다. 반면 2021년 1위를 차지했던 모델3는 10위로 하락했다.

토요타는 상위 10위 안에 5개 모델을, 포드, 닛산, 혼다는 각각 1개 모델이 랭크됐다.



중국 OEM의 글로벌 성장세

작년에 등장한 또 다른 흥미로운 추세는 중국 브랜드가 중국 밖에서 수행하는 점점 더 영향력 있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2022년에는 중국 자동차업체의 150만 대가 중국 밖에서 판매됐다. 이는 2021년에 비해 48%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성장은 보다 경쟁력 있고 고품질인 제품과 저렴한 배터리 전기차의 호조에 힘입은 것이다.

중국 제조업체들은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방법을 찾고 있다. 일부는 새로운 시장에 제품을 직접 소개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차량을 리베이트하고 서구 시장에서 잘 확립된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일부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는 보다 경쟁력 있는 제품 제공을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야망으로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중국 OEM의 성장은 시장 점유율이 2021년 4.8%에서 지난해 6.4%로 급증한 신흥 시장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이지만 중국 제조업체는 유럽 및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로부터 시장 점유율을 성공적으로 빼앗았다. 유라시아와 같은 지역에서 중국 OEM의 시장 점유율은 2021년 6.2%에서 2022년 12.8%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SUV의 증가세는 지속


2021년에서 2022년 사이에 전체 시장이 거의 2%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SUV 판매량은 2.3% 증가한 3,280만 대를 기록했다. SUV 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21년 39.7%에서 41.3%로 급증했다.

SUV는 시장 점유율이 4.3포인트 증가하여 유럽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전체 신차 판매의 43%라는 새로운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북미에서는 SUV 판매가 전체 경차 판매의 54%를 차지한 반면, 중국에서는 SUV가 시장의 41%를 차지했다.

2022년에는 전 세계에서 판매된 SUV의 대부분이 소형이었으며 총 1,560만 대가 판매됐다. 소형 SUV가 760만대, 중형 SUV가 505만대, 고급 SUV가 450만대 판매됐다.

SUV 판매의 증가는 세단, 해치백, MPV 및 왜건과 같은 전통적인 부문의 희생으로 2% 감소한 3,330만 대를 기록했습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인디言] 액션과 연애를 버무린 이터나이츠 게임메카
넷플릭스 이어 디즈니플러스도 빼어든 ‘계정 공유 금지’ (1) IT동아
[판례.zip] 게임 크라우드 펀딩 소송, 국내선 사실상 힘들어 게임메카
법인차의 연두색 번호판 정책은 성공할까? (1) 글로벌오토뉴스
[시승기] 괴물 전기차 '아이오닉 5 N'...슈퍼카 뺨치는 사운드 오토헤럴드
[체험기] '미쉐린 X AMG EV 트랙데이' 찰떡궁합, 고성능 전기차와 전용 타이어 오토헤럴드
[시승기] 6세대 혼다 CR-V 하이브리드 "압도적 공간, 지극히 평범한 패밀리 SUV" 오토헤럴드
[현장에서] 제네시스 GV80 부분변경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GV80 쿠페 오토헤럴드
현대차, 4세대 부분변경 '투싼' 내년 상반기 출시… 유럽 테스트 돌입 오토헤럴드
“미국과 캐나다에서 풍력 발전 반대하는 것은 부유한 백인” (2) 글로벌오토뉴스
그럼에도 유선 이어폰을 쓰는 이유 (4) IT동아
[뉴스줌인] 돌아온 모토로라, 가성비 킹 '엣지40'으로 승부수 (3) IT동아
메타, MR 헤드셋 '퀘스트3' 공개…AI 챗봇도 첫선 (2) IT동아
차세대 VR 헤드셋 출시 임박?…밸브, 스팀VR 2.0 공개 (2) IT동아
[서울형 R&D] 코어라인소프트 이재연 부사장 “CT 영상 속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2) IT동아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라그나로크' 페스티벌 업데이트 (2) 게임동아
펄어비스, '검은사막' 울루키타 지역 세번째 신규 사냥터 추가 (2) 게임동아
농촌 인구 급감·고령화로 농기계 사고 급증…'자율주행 기술 활용 추진' (4) IT동아
‘팬텀 리버티’ 선보인 ‘사이버펑크 2077’ 동접 24만 기록하며 역주행 (3) 게임동아
[리뷰] 다시 젊어진 아돌. 이번에는 커플 액션이다. 이스X 노딕스 (5) 게임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