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영풍, 美 전고체 배터리 제조사 '팩토리얼'과 이차전지 자원순환 협력 MOU

글로벌오토뉴스
2023.06.28. 10:44:36
조회 수
315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영풍이 2023년 6월 27일, 서울 강남구 영풍 사옥에서 팩토리얼과 이차전지 자원순환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팩토리얼은 차세대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Solid State Battery) 전문기업으로,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양사의 자원순환사업 협약은 세계 이차전지 업계에서는 최초라고 밝혔다.

미국에 본사를 둔 팩토리얼은 현재 충남 천안에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공정을 가동 중에 있으며, 양사의 협약에 따라 팩토리얼은 파일럿 공정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공정 스크랩을 영풍에 공급하고, 영풍은 배터리 공정 스크랩을 순환자원화 하는 공동 사업을 추진한다. 향후 팩토리얼이 운영할 미국 메사추세츠 워번의 배터리 공장에서도 영풍과 이차전지 핵심소재 자원순환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영풍은 전세계 이차전지 리사이클 업계 최초로 기존의 삼원계(NCM/NCA) 배터리 및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더해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까지 처리할 수 있는 기술경쟁력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영풍은 1970년부터 적극적인 기술도입 및 R&D 투자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비철금속 정·제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이차전지 리사이클을 위한 ‘건·습식 통합 자원순환 공정’*을 개발 중에 있다.

*건․습식 통합 자원순환 공정 : 세계 최초로 리튬(Li)을 건식으로 포집 및 회수 한 후, 농축된 중간원료를 습식 처리하여 니켈(Li), 리튬(Ni). 코발트(Co) 등 이차전지 핵심소재 광물을 회수하는 영풍만의 자원순환 기술

팩토리얼은 영풍의 건·습식 통합 자원순환 공정을 통해 자사 공장에서 발생한 배터리 공정 스크랩에서 리튬 등 배터리 핵심소재를 회수함으로써 원가 절감과 더불어 원료 확보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됐다.

영풍 이강인 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의 이차전지뿐 아니라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한 차세대 배터리의 원료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며 “양사의 공동사업을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추진하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팩토리얼 알렉스 유(Alex Yu) CTO는 “팩토리얼은 배터리 제조를 넘어 모빌리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며, 배터리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한 첨단 기술에 투자하고 있다”며 “영풍과 협력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함으로써, EV 산업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이끌어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액체와 비교해 안정적이고 사고 시 화재 위험이 낮으며, 부피와 원가가 감소한다. 기존 NCM배터리에 비해 같은 크기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충전 속도도 더 빠르며, 충전중 부식현상을 줄여 수명이 길다. 이처럼 전고체 배터리는 차세대 꿈의 배터리로 불리며 2030년 400억 달러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에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20조 원 투자 계획을 밝혔다. 국내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도 전고체 생산 라인을 포함한 수직통합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영풍은 신사업으로 이차전지 자원순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2년 건식 용융 방식의 국책과제 연구용 파일럿 플랜트를 완공하고, 세계 최초로 건식 공정에서 리튬 회수에 성공하는 등 공정 시운전을 진행했다.

영풍의 이차전지 자원순환 기술은 건·습식 통합 방식으로서 사용 후 배터리에서 리튬은 90% 이상, 니켈, 코발트, 구리는 95% 이상 세계최고 회수율을 실현한 독보적인 방식이다.

팩토리얼은 미국 메사추세츠주에 본사를 둔 전고체 배터리 개발 회사로, 글로벌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과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천안에 전기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공장을 운영 중이다. 향후 생산 규모를 Giga Factory 급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팩토리얼이 개발한 FEST™(Factorial Electrolyte System Technology)를 통해 고체 전해질 재료를 활용해서 고전압, 고용량이면서 안전한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다. FEST™를 기반으로 하는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와 동일한 비용으로 주행 범위도 20~50% 늘릴 수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OpenAI, 5년간 1조 달러 투자 계획 발표…AI 산업 주도권 확보 나선다 다나와
Anthropic, 2026년 매출 2~3배 성장 목표…기업용 AI 플랫폼 수요가 견인 다나와
UAE ‘Stargate’ AI 캠퍼스, 2026년 200MW 규모 첫 가동 예고…G42 주도 초대형 인프라 본격화 다나와
Cisco, ‘AI Readiness Index’ 발표…AI 인프라 역량 지역별 격차 심화 다나와
ASML, 3분기 수주 호조에도 중국 시장 불확실성 경고 다나와
전기차 초기품질 급상승…내연기관차와 품질 격차 1년 새 ‘절반’으로 뚝 오토헤럴드
도요타그룹, 렉서스 위에 ‘센추리’ 신설…새 플래그십 브랜드로 격상 오토헤럴드
현대차·기아, 협력사 안전경영 강화 및 방안 제시 '안전동행 세미나' 개최 오토헤럴드
"핫 해치의 본질을 되찾다" 폭스바겐 골프, 모터트렌드 올해의 차 수상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일론 머스크, 안 팔리는 사이버트럭 '내돈내산' 밀어내기 오토헤럴드
캐딜락, 신형 가솔린 세단 개발 공식화…CT5 후속 내연기관 모델로 부활 오토헤럴드
KGM, 창의적 발상의 미래형 모빌리티 디자인 작품 서울디자인위크 전시 오토헤럴드
둥펑 박스 EV, 유로 NCAP 충돌 테스트서 별 3개… 中 전기차 안전성에 경고등 오토헤럴드
시대별 국내외 전설적 명차와 희귀 모델 한자리에, 2025 서울클래식카쇼 개최 오토헤럴드
376. 중국 로보택시, 바이두와 포니에이아이, 위라이드 어디까지 갈까?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자동차, 글로벌 브랜드 가치 246억 달러 달성 글로벌오토뉴스
트럼프 에너지 지배력 정책 역풍 직면…청정 에너지에서 중국에 밀려 무역 적자 확대 글로벌오토뉴스
독일 크노르-브렘제, “버스용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CO2 연간 1,000kg 저감” 글로벌오토뉴스
글로벌 신에너지차 시장 상생 협력 강조…중국-해외 완성차 기업, 기술 융합 가속 글로벌오토뉴스
웨이모, 테슬라 최고 오디오 엔지니어 영입…자율주행 경쟁 심화 글로벌오토뉴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