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S 2024 한국전자전 입구 전경
지난 22일 제55회 한국 전자전(KES)이 서울 강남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다. 올해 '2024 한국 전자전'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520개 기업(1,300부스)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를 선보인 자리였다. 삼성전자는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홈과 헬스케어 솔루션을, LG전자는 AI와 융합된 미래형 가전 제품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시했다.
삼성전자 - 라이프스타일과 함께하는 AI
먼저 삼성전자는 총 4개의 전시관을 구성하고, 가정집의 거실, 주방, 침실과 사업장(카페)의 실제 모습과 같은 콘셉트로 제품들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우리집 관리' 테마 전시관
‘우리집 관리’라는 이름의 거실 테마 전시관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TV를 통해 스마트싱스(SmartThings)에 연결된 세탁기, 냉장고, 블라인드, 조명 등 모든 기기를 한눈에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삼성전자 보안성&편의성 소개 벽면
벽면에는 보안과 편의성을 강조한 공간이 배치되었으며, 녹스(Knox) 기술을 통해 해킹 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삼성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 후 전원을 켜기만 하면 스마트싱스에 자동으로 등록되어 기기 설정이 간편하다는 점을 알렸다.
삼성전자 주방 콘셉트 전시관
주방 콘셉트 전시관에는 냉장고, 인덕션, 정수기, 세탁기 등이 있었으며, 특히 냉장고가 음성인식 기능으로 "하이 빅스비, 냉장고 문 열어줘"라고 말하면 문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고 내부 카메라를 통해 재료와 유통기한을 냉장고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선보였다.
삼성전자 침실 콘셉트 전시관
침실 콘셉트 전시관에서는 웨어러블을 강조하여, 갤럭시워치 또는 갤럭시링을 착용하고 수면 시 수면 상태를 감지해 조명, 공기청정기, 에어컨을 자동으로 수면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카페 콘셉트 전시관
마지막 카페 콘셉트 전시관에서는 로봇청소기가 주력 제품으로 소개되었으며, 로봇청소기 카메라가 오염된 구역을 스스로 인식하고 청소하는 기능과, 사업장에 사람이 없는 경우 청소, 에어컨 종료, 공기청정기 강회 가동 등으로 불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부각되었다.
LG전자 - 감성과 AI가 함께하다
LG전자의 전시관은 동선을 따라 움직이는 테마파크 형식으로 구성되고, 공기청정기, 스마트홈, 주방가전, 프로젝터, 미래형 모빌리티 등 다양한 콘셉트를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LG전자 공기청정기 콘셉트 전시관
부스 입구에는 언덕 위의 바람을 연상시키는 콘셉트로 배치된 에어컨과 공기청정기가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는 모습을 보였고, 공기 오염도를 판단해 최적의 효율로 작동하는 AI 기능을 선보였다.
LG전자 연극 콘셉트 전시관
이어서 AI홈 허브인 ‘씽큐온(ThinQ on)’을 주제로 한 연극이 진행되었으며, 연극에서는 부부가 씽큐온과 대화하며 기념일에 맞는 음식과 와인을 추천받고 음성으로 오븐 조리 과정을 확인하거나 조명을 기념일 분위기에 맞게 바꾸는 모습을 소개했다.
LG전자 우주 콘셉트 전시관과 LG 듀크박스(출시예정)
우주 콘셉트의 AI 주방가전 전시장에서는 진공관 오디오를 모티브로한 투명 올인원 오디오 'LG 듀크박스'(출시예정) 상품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냉장고, 세탁물의 무게와 옷감 종류, 오염도를 분석해 최적 모드로 세탁하는 세탁기 등 생활 가전 속 AI 기능을 선보였다.
LG전자 듀오보(좌측)와 LG 알파블(우측)
이외에도 영화관 콘셉트로 작은 크기와 4K 해상도를 갖춘 LG 시네마빔 큐브, AI 차량인 LG 알파블(Alpha B.Lab), 맞춤형 캠핑 주거 공간 본보야지(Bon Voyage), 맛과 향이 다른 두 가지 캡슐을 한 번에 추출할 수 있는 커피머신 듀오보(출시예정)을 소개했다.
이미지 출처: LG전자, JDNETKorea, 삼성전자
다나와 디지털팀 CM 이재경(jaekyung@danawa.com)
홍윤준(gg03218@cowave.kr)
(c) 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