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는 27일 경기 고양시에 위치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웨어러블 로봇 테크데이(Wearable Robot Tech Day)’를 개최하고, 자체 개발한 산업용 착용 로봇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를 최초로 공개했다. 더불어 본격적인 사업화 계획도 발표했다.
현대차·기아의 착용 로봇 브랜드 엑스블(X-ble)은 무한한 잠재력을 의미하는 ‘X’와 무엇이든 현실화할 수 있다는 의미의 ‘able’을 결합한 이름이다. 엑스블 제품군 중 처음으로 판매를 시작하는 엑스블 숄더는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자체 기술로 개발된 제품이다. 특히 산업 현장에서 팔을 올려 작업하는 ‘윗보기 작업’에 활용되어 작업자의 상완(어깨, 팔꿈치) 근력을 보조하고, 근골격계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현대차·기아는 엑스블 숄더가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건설, 조선, 항공, 농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출시를 시작으로 점차 해외 시장으로 판매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첨단 기술로 완성된 ‘엑스블 숄더’, 어깨 관절 부담 60% 경감 엑스블 숄더는 별도의 전력 공급 없이 동작하는 ‘근력 보상 모듈’을 적용해 가벼우면서도 편리한 유지·관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 모듈은 크랭크 축, 인장 스프링, 멀티링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팔을 움직일 때 모듈 내부에서 생성된 탄성 에너지를 토크 형태로 변환해 상완 근력을 보조한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엑스블 숄더의 개발 과정에서 300여 명의 현장 작업자들의 의견을 청취해 제품에 적극 반영했다. 이를 통해 작업 환경별 최적의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링크 구조를 구현했으며, 어깨 관절 부하를 최대 60%, 근육 활성도를 최대 30%까지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안전성과 내구성도 뛰어나다. 탄소 복합 소재와 내마모성 소재를 적용해 기존 알루미늄 대비 3.3배 강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무게를 40% 줄였다. 또한,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내충격성 소재를 사용해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도 인체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됐다.
엑스블 숄더는 기본형과 조절형 두 가지 라인업으로 제공된다. 기본형은 다양한 자세의 작업에 적합하며 최대 2.9kgf의 보조력을 제공한다. 조절형은 반복적인 자세가 요구되는 작업에서 사용자가 직접 각도를 조정해 최대 3.7kgf의 보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듈과 착용부(조끼)는 탈착이 가능해 한쪽 팔만 사용하는 편측 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착용부는 세탁이 가능해 위생 관리도 용이하다.
글로벌 시장 공략과 웨어러블 로봇 비전 현대차·기아는 엑스블 숄더의 국내 판매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현대차와 기아의 국내외 생산 공장에서 제품을 공급한 후, 2025년부터는 그룹 계열사를 비롯해 건설, 조선, 항공 등 다양한 산업군의 타기업으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28일부터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홈페이지를 통해 구매 상담을 시작하며, 2024년 상반기부터 제품을 순차적으로 출고할 예정이다. 로보틱스랩은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구매 기업에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작업자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해 인체모델 분석을 진행하고, 엑스블 숄더 도입 시 근육과 관절 부하 경감 효과를 수치화해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엑스블 숄더 출시를 시작으로 웨어러블 로봇 제품군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앞으로 AI 기술을 접목한 산업 안전 솔루션을 통해 웨어러블 로봇 시장을 선도하며,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로보틱스사업1팀 김영훈 팀장은 “엑스블 숄더는 단순한 제품을 넘어 산업 안전과 작업 효율성을 혁신하는 도구가 될 것”이라며, “웨어러블 로봇 시장에서 현대차·기아의 선도적 입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