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Upstage)가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차세대 대규모 언어모델(LLM) '솔라 프로(Solar Pro)'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의료, 금융, 법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업스테이지는 기존 107억 파라미터의 솔라 미니(Solar Mini)보다 발전된 220억 파라미터 규모의 솔라 프로를 선보였다. 주요 벤치마크에서 성능이 50% 향상됐으며, 비용 효율성도 개선됐다. 지난 9월 프리뷰 버전 출시 당시 허깅페이스(HuggingFace)의 오픈 LLM 리더보드에서 700억 파라미터 이하 모델 중 1위를 차지했다. 감성지능을 평가하는 EQ 벤치 리더보드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솔라 프로는 아마존 세이지메이커(Amazon SageMaker)를 통해 학습됐다. 업스테이지가 주도하는 1조 토큰 클럽(1 Trillion Token Club)의 데이터를 활용해 한국어 특화 학습을 진행했다. 저작권이 없는 영어와 한국어 텍스트, 도서, 뉴스 기사, 보고서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문화적 뉘앙스를 이해하고 AI 환각 현상을 줄였다. 특히 독자 개발한 깊이 확장 스케일링(Depth-Up Scaling, DUS) 기술을 적용해 단일 GPU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최적화했다. 이 기술을 통해 기존 대비 4배 작은 모델 크기로도 동일한 성능을 구현했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CEO는 "솔라 프로는 의료, 금융, 법률 분야에서 프로세스 자동화와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마존 이외에도 인텔을 포함한 수백 개의 글로벌 기업이 업스테이지와 협력하여 솔라 프로를 활용한 맞춤형 생성AI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특히,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는 업스테이지와 협력해 화장품 규제 관련 LLM 기반 챗봇을 개발했다. 박찬영 식약처 부장은 "챗GPT(ChatGPT) 등장 이후 공공부문의 AI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며 "식약처는 생성형 AI를 통해 식품과 의약품 안전 정보 전달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업스테이지의 솔라 프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AWS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AI Matters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