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너럴 모터스(GM)가 멕시코에서 운영하는 전기차 생산 공장의 인력을 2025년 3월 3일까지 약 1,000명 줄이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입 관세 철폐 및 전기차 진흥 대책을 앞두고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한 달 연기된 상태지만, 시장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GM은 이번 감산의 이유에 대해 생산 일정 재조정 및 효율성 강화를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또한, 생산 시스템을 변경하기로 한 결정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발표하기 이전에 내려졌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GM이 향후 미국 내 생산을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한편, GM과 협력 관계에 있는 혼다도 GM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프롤로그(Prologue)’ 전기차의 생산량을 2025년 초부터 줄이기로 결정했다. 혼다의 미국 자회사는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수요에 따라 생산량을 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GM의 전기차 판매는 미국 시장에서 꾸준히 증가해왔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전 행정부에서 추진했던 전기차 지원 정책을 폐지하기로 한 점과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25% 수입 관세 발표 등의 요인이 감산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GM뿐만 아니라 다른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도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생산 계획을 재검토하는 분위기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현재 멕시코는 미국 전체 자동차 부품 수입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신차 생산 비중(20%)보다 높은 수준이다.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될 경우 부품 제조업체들도 공급망을 대대적으로 재편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멕시코를 비롯한 특정 국가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미국·캐나다·멕시코에 생산 거점을 둔 자동차 기업들은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해당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내 신차 가격이 약 3,000달러 인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 심리 위축과 판매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결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생산량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뒤흔드는 가운데, 완성차 업체들은 당장의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한 채 향후 정책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