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타임즈가 9일(한국 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전국 지방정부들이 공식 업무용으로 챗GPT(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그램 구독에 약 4억 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7개 광역 및 도 정부는 2023년 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생성형 AI 서비스 구독에 총 3억 9170만 원을 사용했다.
제주도가 약 6870만 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을 지출했으며, 서울(5630만 원), 경기도(4670만 원), 전라남도(4450만 원), 충청남도(4310만 원)가 그 뒤를 이었다. 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지방정부 공무원 수는 총 3,687명으로 집계됐다. 단, 경기도는 정확한 수치를 파악할 수 없다고 밝혔다. 충청남도가 1,274명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했고, 강원도(858명), 서울(440명), 대전(275명)이 뒤를 이었다.
미국 오픈AI(OpenAI)에서 개발한 대화형 AI 서비스인 챗GPT는 17개 지방정부 모두가 사용 중인 가장 널리 구독된 AI 도구였다. 5개 지방정부는 미국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개발한 AI 모델 클로드(Claude)와 AI 기반 이미지 생성 도구 미드저니(Midjourney)도 구독하고 있다. 또한 4개 지방정부는 프레젠테이션과 웹사이트 제작을 지원하는 AI 서비스 감마(Gamma)를 사용했다. 그 밖에 음악 제작 도구 수노(Suno), AI 기반 검색 엔진 퍼플렉시티(Perplexity), 텍스트 음성 합성 도구 네이버 클로바 더빙(Naver Clova Dubbing), 비디오 압축 서비스 블루닷(Bluedot) 등의 AI 서비스도 활용되고 있다.
서울과 경기도는 각각 10개의 서로 다른 AI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가장 많은 AI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도입이 증가하는 가운데 보안 우려도 존재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어떤 지방정부도 데이터 보안 우려로 중앙정부가 대부분 차단한 중국의 생성형 AI 서비스인 딥시크(DeepSeek)를 구독하지 않았다. 한국이 첨단 기술을 공공 행정에 계속 통합함에 따라 정부 업무에서 AI 사용 증가는 보안, 효율성, 비용 효율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해당 기사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AI Matters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