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자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미국에서 최첨단 제조 혁신 거점을 구축하며 톱티어 자동차 기업으로의 위상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현대차그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Ellabell)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이하 HMGMA)’의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준공된 HMGMA는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성장을 견인할 전략적 생산기지이자 미래 모빌리티를 현실화하는 핵심 거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한국과 미국의 경제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양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날 준공식에는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과 장재훈 부회장, 현대차 호세 무뇨스 사장, 기아 송호성 사장 등 현대차그룹 주요 임직원들과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버디 카터 연방 하원의원, 조현동 주미 대사, 앙헬 카브레라 조지아공대 총장 등 현지 주요 인사 500여 명이 참석했다.
정의선 회장은 환영사에서 “HMGMA는 혁신적 제조 역량 그 이상의 중요한 가치를 의미한다”며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모빌리티의 미래이며, 바로 이곳에서 그 미래를 함께 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역시 축사를 통해 “HMGMA는 오랜 준비와 현대차그룹의 빠른 실행력이 결합된 결과”라며, “조지아주가 보유한 우수한 대학과 인력 양성 프로그램, 물류 인프라를 통해 현대차그룹의 혁신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켐프 주지사는 행사에서 생산된 아이오닉 5 차량에 직접 서명을 하며 준공식의 의미를 더했다.

이번 준공식에서는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생산공장 네트워크가 주목받았다. 행사장 입구에는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HMMA), 기아 조지아 공장(KaGA), HMGMA에서 생산되는 GV70 전동화 모델, EV9, 아이오닉 5가 전시되었으며, 보스턴다이나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안내 역할을 수행했다.
이날 준공된 HMGMA는 자동화·지능화·유연화를 기반으로 제조 혁신을 실현한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SDF)으로 구축됐다. 메타플랜트(Metaplant)는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생산거점인 플랜트(Plant)의 합성어로, 기존 제조업의 한계를 뛰어넘는 창의적 생산기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들 역시 ‘메타프로(Meta Pros)’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HMGMA 준공을 계기로 미국 내 세 번째 생산 거점을 확보했다. HMGMA는 연산 30만 대 규모로 2024년 10월부터 아이오닉 5 생산을 시작했으며, 2025년 3월부터 현대차 전동화 플래그십 SUV 모델 아이오닉 9을 양산 중이다. 내년에는 기아 모델과 하이브리드 차량도 추가 생산하며, 향후 제네시스 모델까지 생산 라인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의 생산 능력을 이번 HMGMA 준공으로 연 100만 대 수준까지 끌어올리게 됐다. 이는 2005년 현대차가 앨라배마 공장 가동으로 현지 생산을 시작한 지 20년 만의 성과이며, 앞으로 추가로 20만 대를 증설해 연 120만 대까지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HMGMA는 인간 중심적 설계에 기반한 혁신적 제조환경을 자랑한다. 최신 자동화 기술과 인공지능(AI), 로봇 기술이 접목되어 생산 전 과정을 디지털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로봇이 차량 도어 장착과 품질 검사 등 고중량 및 고난도 작업을 완전 자동화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인 ‘올 뉴 아틀라스(All new Atlas)’도 시범 투입될 예정이다.
물류 시스템 또한 자율주행 및 수소 기술을 활용해 혁신을 이뤘다. 공장 내부에서는 200여 대의 자율이동로봇(AMR)이 부품 공급을 담당하고, 외부 공급망에서는 현대차그룹의 수소전기 트럭 ‘엑시언트’가 친환경 부품 운송을 수행한다.
HMGMA 부지 면적은 여의도의 4배 크기인 약 355만 평(1,176만㎡)에 달한다. 부지 내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 현대트랜시스 등 주요 계열사가 함께 입주해 있으며, 연산 30GWh 규모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셀 공장도 건설 중이다. 인근 국내 협력사까지 연계한 첨단 미래차 클러스터를 형성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HMGMA 준공을 계기로 미국 내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톱티어 자동차 기업으로서의 도약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더불어 국내 협력사들의 미국 시장 진출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