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석탄 산업 부활을 목표로 행정명령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데이터센터, 전기차, 인공지능 등 전력 수요 증가를 이유로 비상 권한을 발동하여 노후화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가동을 유지하려 하고 있으며, 연방 기관에 석탄 자원 식별, 석탄 채굴 장벽 해제, 석탄 임대 우선순위 부여 등의 내용을 포함한 행정명령을 내릴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오바마 행정부 시절 중단된 연방 토지 석탄 임대 모라토리엄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석탄 수출 확대 및 석탄 기술 개발 가속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석탄 산업계와 일부 지지층을 제외하고는 이 행정명령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석탄은 화석 연료 중 가장 많은 오염 물질을 배출하고, 천연가스보다 비용 효율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에서 석탄 산업은 2007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4년에는 미국 총 발전량에서 15%만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는 수치이다. 반면, 풍력과 태양광 발전은 이미 석탄 발전을 넘어 총 발전량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2025년 미국 전력망에 추가되는 신규 발전량의 93%가 태양광, 풍력, 배터리 저장 장치에서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석탄 산업 부활 정책은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트럼프 #석탄산업 #청정에너지 #풍력 #태양광 #에너지정책 #미국정치 #석탄화력발전 #환경정책 #에너지전환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