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조 서비스 기업 프리드라이프(대표이사 김만기)가 지난 10년간 축적된 자사 장례 의전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대한민국 장례 문화의 뚜렷한 변화 흐름을 발표했다. 프리드라이프는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자사 장례 의전 데이터를 분석해 장법, 장례 형태, 종교별 선호도 등의 트렌드를 정리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화장의 증가다. 2015년 69%를 차지했던 화장은 2024년 기준 81%로 상승하며 장법 중 압도적인 선택지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전통적인 매장은 18%에서 6%로 급감했다. 이로써 장법 선호가 매장에서 화장으로 뚜렷하게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장 방식 내부에서도 세부적으로는 관을 그대로 매장하는 관장이 50%, 고인만 하관하는 탈관이 49%로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자연장에 대한 관심도 크게 늘었다. 수목장과 해양장 등 자연장은 2015년 대비 약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이나 바다에 유골을 뿌리는 방식인 산분장은 2024년 1월 24일 제도화된 이후 문의가 증가세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리드라이프 측은 자연장 확대가 친환경적인 추모문화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있는 현상으로 분석했다.
장례 형태는 전통식 장례가 여전히 주를 이루고 있다. 전통식 장례는 2015년 54.7%에서 2024년 55.7%로 소폭 상승했다. 반면 종교식 장례는 같은 기간 45%에서 44.3%로 0.7%p 감소했다. 종교식 장례 중에서는 기독교식이 24%로 가장 많았고, 불교식 13%, 천주교식 7%가 뒤를 이었다.
프리드라이프는 종교별 맞춤 장례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특허 받은 한지궁중대렴, 봉안함, 관보 등 장례용품과 고인 추모영상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리드라이프 관계자는 “오랜 기간 축적된 장례 의전 데이터와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는 장례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추모문화를 선도하고, 상조 산업의 공익적 가치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프리드라이프는 2002년 설립된 이후 ‘장례 토털 케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생애 전반을 아우르는 ‘토털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업계 최초로 고객 데이터 플랫폼(CDP)을 도입한 데 이어, 24시간 모바일 장례 접수 시스템, 고객 맞춤형 챗봇 상담 서비스 등을 통해 디지털 전환과 고객경험 개선을 추진하며 상조 산업의 선진화를 이끌고 있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서린씨앤아이, 책상형 PC케이스 ‘리안리 DK07’ 국내 예약 판매… 최대 17% 할인
· AMD RX 9070 XT 그래픽카드를 1천원에? 다나와, 5일간 래플 진행
· 기가바이트 AORUS MASTER 18, 사전판매 전량 완판… 초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시장 흔든다
· 마인크래프트와 손잡은 Razer, ‘크리퍼’ 감성 입은 게이밍 기어 4종 한국 출시
· 화려함과 쾌적함을 동시에 잡다 ‘darkFlash DS500 RGB (화이트)’ 미들타워 PC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