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질의응답] 벤츠 CTO 마르쿠스 쉐퍼, 레벨3 자율주행 상용화 자신감의 근거는?

글로벌오토뉴스
2025.04.25. 13:56:33
조회 수
118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2025 상하이모터쇼 현장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로 메르세데스-벤츠 최고기술책임자(CTO) 마르쿠스 쉐퍼(Markus Schäfer)와의 화상 인터뷰가 진행됐다. 쉐퍼 CTO는 앞으로 20개월 동안 선보일 약 20개의 신차와 최신 기술 전략을 공유했다. 이날 그는 특히 새로운 CLA 모델을 시작으로, 전기차,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자율주행 기술 등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래를 이끌 핵심 분야에 대한 방향성과 전략을 상세히 설명했다.



중국 전기차 기술력을 어떻게 평가하고, 메르세데스-벤츠는 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이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앞서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이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전략을 세우고 있으며, 특히 EQXX 프로젝트를 통해 고효율 전기차 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해왔습니다. 그 결과, 866km 주행거리와 10.9kWh 에너지 소비율을 자랑하는 CLA 롱 휠베이스 모델을 선보일 수 있었고, 이는 중국 시장에서 새로운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CLA에 탑재되는 LFP 배터리의 구체적 사양과 공급 방식은?

CLA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58kWh 용량이며, 공식 주행거리는 아직 인증 절차가 진행 중이라 구체적으로 밝히긴 어렵지만 500km를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배터리는 모듈화된 방식으로 조달되고 있으며, 중국뿐만 아니라 헝가리와 프랑스 등에서도 공급받고 있습니다. 특히 LFP 배터리는 대부분 중국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중국과의 배터리 기술 협력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가?

배터리 기술은 메르세데스-벤츠의 자체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며, 이후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 한국, 유럽 등 여러 국가의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판매 지역에 맞춰 현지에서 조달하는 ‘로컬 포 로컬’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술의 품질을 높이고, 동시에 비용 효율성도 확보하고자 합니다.



중국 시장은 전동화 전략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

중국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시장으로, 메르세데스-벤츠가 글로벌 전략을 실행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지에 R&D 센터와 생산시설을 두고 있으며, 독일과 한국 등지의 글로벌 연구 거점과 함께 전고체 배터리, 드라이브 파일럿, 솔라 코팅 등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MMA 플랫폼은 향후 다른 모델에도 확대 적용될 계획인가?

그렇습니다. MMA 플랫폼은 모듈화된 구조로 설계돼 CLA 외에도 다양한 모델에 적용할 계획입니다. 여기에 포함된 MB.OS 운영체제와 전기 모터, 배터리 시스템 등도 확장 가능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어, 향후 다양한 차종에 통합 적용될 예정입니다.

자율주행 레벨 3 상용화 속도가 느리다는 평가에 대한 입장은?

레벨 3 자율주행은 운전 책임이 사람에서 차량으로 넘어가는 중대한 전환이기 때문에, 기술적·법적 준비가 철저히 이뤄져야 합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이미 유럽과 미국에서 레벨 3 기술을 상용화했으며, 중국에서도 관련 규제가 정비되는 대로 인증을 받아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향후 12개월 내에 중국 내에서도 테스트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레벨 3 기술의 확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진 :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메르세데스벤츠 #상하이모터쇼2025 #CLA #전기차 #배터리기술 #자율주행 #마르쿠스쉐퍼 #MMA플랫폼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3/1
현대차·기아, 협력사 채용 지원 동반성장 프로그램 '2025 Here We GO!' 실시 오토헤럴드
KGM, 드라이브 페스타 '토레스 하이브리드' 120시간 스페셜 시승 실시 오토헤럴드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안심 가격 보장제 실시...위탁판매 및 가격 정찰제 오토헤럴드
[EV 트렌드] '18분이면 충전 끝' 스텔란티스, 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예고 오토헤럴드
제네시스 전시장 중 최대 규모 '제네시스 청주’ 개관...카 컬쳐 허브로 조성 오토헤럴드
만트럭, 피터 안데르손 사장의 ’경청ㆍ소통' 중심 경영 조직문화 변화 주도 오토헤럴드
[질의응답] 벤츠 CTO 마르쿠스 쉐퍼, 레벨3 자율주행 상용화 자신감의 근거는? 글로벌오토뉴스
2025 상하이오토쇼 - 전기차-자율주행-4D사운드까지, 현대모비스가 준비한 미래 글로벌오토뉴스
[영상] 전기차 대중화의 정점에 선 합리적 선택, 기아 EV4 글로벌오토뉴스
메르세데스-벤츠, 첫 롱휠베이스 전기차 ‘CLA L’ 중국서 최초 공개 글로벌오토뉴스
토요타, 5m 대형 전기 세단 ‘bZ7’ 공개… 화웨이 OS 첫 탑재 글로벌오토뉴스
렉서스 ES: 전기차와 하이브리드로 거듭나다 글로벌오토뉴스
르노-지리 합작사 호스 파워트레인, BEV 플랫폼 기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공개 글로벌오토뉴스
베바스토, 기아 EV3 핵심 부품 공급… 한국 생산으로 협력 강화 글로벌오토뉴스
샤오미, 독일 뮌헨에 전기차 R&D 기지 건설 추진… 유럽 시장 공략 박차 글로벌오토뉴스
미국,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 급증…태양광·풍력이 성장 주도 글로벌오토뉴스
NHN, '2025 한게임포커 챔피언십(HPC) 시즌2' PC방 대회 참가자 모집 게임동아
혼다코리아, ‘ST125(닥스)’ 출시 기념 더현대 서울 전시 이벤트 진행 글로벌오토뉴스
현대모비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43% 증가 글로벌오토뉴스
벤틀리모터스, 오토 상하이 2025서 하이브리드 ‘아주르’ 라인업 세계 최초 공개 글로벌오토뉴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