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최대 900km를 주행하는 영업사원이 3년 만에 누적 주행거리 66만km를 기록한 현대차 아이오닉 5 사례가 전기차의 내구성과 경제성에 대한 관심을 끌고 있다. 해당 사례는 현대차그룹 공식 콘텐츠 채널(HMG저널)을 통해 소개되며 기술적 신뢰성에 대한 실증 사례로 자리매김했다.
이 차량의 소유주 이영흠 씨는 수도권과 지방을 오가는 업무 특성상 장거리 주행이 잦았고, 유지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아이오닉 5 롱레인지 RWD 모델을 선택했다. 그는 “매일 100% 급속 충전을 하면서도 차량 성능이나 주행거리 저하 없이 60만km 이상을 안정적으로 달렸다”고 말했다.

2025년 초, 이영흠 씨의 차량은 누적 주행거리 약 58만km에 도달했을 때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전기차 배터리 및 주요 구동 부품에 대한 실사용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 목적으로, 배터리와 전기모터 등을 무상 교체하는 조건이었다. 수거된 배터리의 잔존 수명은 87.7%로, 장거리 운행과 반복된 급속 충전에도 우수한 내구 성능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차그룹 배터리개발센터 윤달영 책임연구원은 “이번 사례는 극한 운행 조건에서의 배터리 신뢰성을 실증하는 매우 유의미한 데이터”라며,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세대 배터리 수명 예측 모델 및 설계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이오닉 5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개발된 모델로, 안정적인 주행 성능과 넓은 실내 공간, 정숙한 승차감 등 장거리 운전에도 적합한 특성을 갖췄다. 이 씨는 “내연기관차 대비 압도적인 유지관리 편의성과 주행 쾌적성 덕분에 다음 차량도 현대차 또는 기아의 전기차를 고려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이오닉5 #전기차내구성 #66만km주행 #현대자동차 #배터리수명 #전기차기술 #E_GMP #EV신뢰성 #급속충전내구성 #전기차실사용데이터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