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美 빅3 음반사, AI 기업과 음악 활용 라이선스 협상 추진

2025.06.04. 19:03:34
조회 수
156
9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유니버설 뮤직 그룹(Universal Music Group), 워너 뮤직 그룹(Warner Music Group), 소니 뮤직 그룹(Sony Music Group) 등 주요 음악 회사들이 AI 스타트업 두 곳과 라이선스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번 협상은 생성형 AI가 음악을 사용하는 방식과 아티스트들의 보상 체계에 새로운 선례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WSJ에 따르면, 주요 음악 회사들은 수노(Suno)와 유디오(Udio) 등 AI 스타트업들과 라이선스 계약을 협상하고 있다. 이들 회사가 대표하는 아티스트들의 음악이 생성형 AI 모델 훈련에 사용되고 새로운 음악을 제작할 때 적절한 보상을 받기 위한 협상이다. 협상 관계자들에 따르면, 음악 회사들은 아티스트와 레이블이 받아야 할 보상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스타트업들이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과 어트리뷰션(attribution) 기술을 개발하기를 원하고 있다. 이는 유튜브의 콘텐츠 ID(Content ID)와 유사한 방식으로 언제, 어떻게 노래가 사용되는지 추적하는 기술이다.

또한 음악 회사들은 AI 회사들이 출시하는 음악 관련 제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하고 있다. 어떤 제품이 개발되고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발언권을 갖겠다는 의미다. 이들 회사는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드레이크(Drake), 에드 시런(Ed Sheeran) 등 가장 인기 있는 아티스트들을 대표하고 있다. 이번 협상 소식은 앞서 블룸버그(Bloomberg)가 먼저 보도했다.

이번 협상은 영화 스튜디오, 도서 출판사, 뉴스 조직들과 마찬가지로 음반 레이블들이 생성형 AI가 자신들의 사업에 가하는 위협으로부터 보호받으면서 동시에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음악 산업 무역 단체인 미국 음반 산업 협회(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는 지난해 6월 수노와 우디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 회사가 아티스트와 레이블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수노는 자사의 기술이 새로운 콘텐츠를 창조하는 것이며 기존 음악을 기억하거나 그대로 토해내는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우디오는 자사의 훈련 목표가 누구도 소유하지 않는 음악적 아이디어에 대한 이해를 개발하는 것이며, 모델이 저작권이 있는 작품이나 아티스트의 목소리를 재생산하지 않도록 하는 필터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레이블과 스타트업 모두 불확실한 규제 환경과 생성형 AI 제품에서 음악 사용에 대한 상업적 프레임워크 구축을 위한 투자자들의 압력으로 인해 라이선스 권리에 대한 합의를 서두르고 있다. 특히 지난달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저작권청(U.S. Copyright Office) 시라 펄뮤터(Shira Perlmutter) 청장을 해임한 것이 음악 업계에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백악관이 AI와 저작권을 둘러싼 분쟁에서 기술 회사들을 편들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각 레이블은 스타트업들과 개별적으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협상은 각각 다른 단계에 있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레이블들에게는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일부 경계심을 가질 수 있는 뮤지션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얻는 방식으로 대규모 카탈로그 라이선스에 대한 상업적 조건을 만드는 것이 과제다. 레이블들은 아티스트들이 특정 사용 사례에서 제외될 수 있는 조항을 요구하고 있다.

라이선스 계약이 체결될 경우 양측 간의 소송 합의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으며, 지금까지의 음악 사용에 대한 일정 수준의 손해 배상금 지급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음악 회사들이 AI 회사들의 지분을 갖게 되는 계약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음악 회사들은 스타트업과의 라이선스 계약의 일환으로 지분을 갖는 경우가 많다. 유니버설, 워너, 소니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Spotify)가 출시될 때도 지분을 보유했었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AI Matters 뉴스레터 구독하기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KRDS 준수해야 하는 공공 웹, AI 기반 검증 기술에도 ‘주목’ IT동아
구글, 가상 착장 앱 ‘도플’ 출시… “스타일 탐색을 더 쉽게” (2) 다나와
퓨리오사AI NPU 도입 앞둔 딥노이드, "운영비용 최적화·서비스 응용에 기대" IT동아
작곡 AI 수노, 편집 기능 강화 위해 ‘웨이브툴’ 인수… 음반사와 법적 분쟁은 지속 AI matters
스플렁크, AI 시대 데이터 관리 강조…“데이터 연합 전략이 대안” IT동아
[생성AI길라잡이] 구글 제미나이로 '고품질 음식 사진' 생성하기 IT동아
테슬라 로보택시, 출시 초반부터 사고 속출 다나와
넥스트라이즈 2025, 우주/방산/콘텐츠 부문 AI 스타트업 '눈길' IT동아
AI 무인 회수기, 페트병·캔 재활용으로 포인트 적립까지…선순환 효과 ‘톡톡’ IT동아
“형태보다 판단력이 중요하다" FCA, AI 금융 규제 패러다임 개혁 요구 (1) 다나와
리벨리온, SKT와 함께 AI 서비스 구현 나서··· '핵심은 AI 주권 확보' IT동아
AI 챗봇 또타24, 서울지하철 민원 접수 간단하고 빠르게 (4) IT동아
구글 AI 검색, 영국 경쟁당국 조사 착수…“시장 왜곡 우려” 다나와
업스테이지·퓨리오사AI 맞손, '국산NPU에 국산 LLM 올린다' IT동아
과기정통부·중기부 장관에 ‘AI 전문가’ 전면 배치… “국가 디지털 전략 가속화” 다나와
美 유통업계 '도난 피해' 연 57조에 달해....해결 위해 프랑스 AI 나선다 (3) 다나와
BBC,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에 '무단 콘텐츠 사용'에 따른 법적 조치 경고 다나와
"너 말투, ChatGPT 같아"…AI가 우리의 말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6) 다나와
인고의 시간 거친 티맥스 ANC, 슈퍼앱 '가이아'에 사활 걸어 (1) IT동아
공공 AI의 주축으로 떠오른 '소버린 AI', 해외 주요 국가 동향은 IT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