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가 미국 네바다주에 건설 중인 LFP 배터리 셀 공장의 완공이 임박했으며 생산 시작을 거의 앞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테슬라의 가장 저렴한 전기차 모델과 모든 에너지 저장 제품(메가팩 및 파워월)은 LFP 셀을 사용하며, 대부분 중국 제조업체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그러나 미·중 무역 전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중국 의존도는 테슬라를 포함한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 및 배터리 팩 제조업체에 복잡한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산 배터리 셀에는 이미 25%의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한때 80% 이상으로 증가했다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부 관세를 유예하면서 조절된 바 있다. 향후 관세 수준은 불확실하지만,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목소리가 많다.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이전에 테슬라는 이미 25%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소규모 LFP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테슬라는 배터리 셀 공급업체 중 하나인 CATL로부터 기존 제조 장비를 확보하고 이를 미국에 배치하여 소규모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최근 테슬라는 네바다 공장의 새로운 이미지를 공개하며 거의 완성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이 새로운 네바다 공장에서 연간 약 10GWh의 LFP 배터리 셀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셀은 주로 미국에서 생산되는 테슬라의 에너지 저장 장치인 메가팩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는 현재 캘리포니아 공장에서 연간 40GWh 규모의 메가팩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텍사스에도 새로운 메가팩 공장을 건설 중이다.
한편, 포드 역시 미시간에 자체 LFP 배터리 셀 공장을 개발 중이며, 이 시설은 35GWh의 계획된 생산 능력으로 테슬라보다 훨씬 더 큰 규모다.
LFP 기술은 원래 미국과 캐나다 연구진에 의해 초기 개발되었으나, 중국이 일찍이 그 잠재력을 인식하고 대량 생산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하여 현재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테슬라는 현재 대부분의 차량과 모든 고정식 에너지 저장 제품에 LFP 셀을 사용하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