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 기술이 인공지능(AI) 기반의 End-to-End(E2E) 방식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가운데, 한국형 자율주행 모델 정립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의 장이 마련된다.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에서는 산업계, 학계, 공공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자율주행 기술과 정책, 산업 전략을 폭넓게 조망하는 다양한 컨퍼런스가 진행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자율주행 기술 전 주기를 아우르는 총 9개 세션, 30개 발표로 구성된다. AI 기반 자율주행,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전환, 센서·통신, 디지털 엔지니어링, 글로벌 기술 전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첫날인 9일에는 자율주행차 안전 기술과 한국형 AI 자율주행 모델의 방향성이 논의된다.
오전 세션에서는 자동차안전연구원, 원제뉴인, 로데슈바르츠가 자율주행차 전자파 적합성(EMC) 평가, 전자파 관련 법규 동향, ADAS/자율주행 측정 기술 등을 발표한다.
오후에는 ‘한국형 AI 자율주행을 정의하다’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이 진행된다. 카카오모빌리티, 마스오토, 한국전자기술연구원, KAIST, 한국자동차연구원 관계자들이 참여해 글로벌 기술 흐름 속에서 한국형 기술·제도 균형 모델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현대자동차, 보쉬, ITK 엔지니어링 재팬 등 국내외 기업들이 SDV 개발 전략과 아키텍처 전환 방향, 글로벌 기술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10일에는 자율주행 핵심 기술과 디지털 엔지니어링이 주요 주제로 다뤄진다.
오전 세션에서는 SOSLAB, 오토엘, 에이알엔텍 등이 라이다, 데이터 플랫폼, 항법 센서 등 핵심 기술을 발표한다.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는 화성시 자율주행 리빙랩 실증 현황을 공유한다.
디지털 엔지니어링 세션에서는 매스웍스 코리아, 엔시스, 헥사곤이 ADAS 레이더 개발, MEMS 3D 스캐닝, GNSS 기반 정밀 측위 기술 등을 소개한다.
‘미래 모빌리티 전망’ 세션에서는 한국자동차연구원,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카카오모빌리티, 현대모비스 등이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산업 동향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간다.
11일에는 SDV와 AI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방향이 논의된다.
옐로나이프와 팝콘사는 한·중·일 SDV 현황과 SDV 시대의 디지털트윈 전략을 발표하고, 아우토크립트와 라이드플럭스는 사이버보안 및 자율주행 신뢰성 확보를 위한 AI 활용 방안을 공유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실도로 운전행태 데이터 기반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삼프로TV는 미국·중국의 자율주행 및 로보택시 현황과 국내 시장의 현실을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자율주행 스타트업들이 참여하는 IR 피칭데이가 열려 기술 상용화 가능성과 투자 비전을 공유할 예정이다.
주관사인 코엑스 관계자는 “기술, 정책, 실증을 연결하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민관학 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자율주행 산업의 방향성과 기술 흐름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코엑스와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자율주행 산업 전반의 기술, 제품, 서비스, 플랫폼을 총망라해 선보인다. 무료 사전등록은 전시회 홈페이지에서 6일까지 가능하다.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 #자율주행 #SDV #AI자율주행 #코엑스 #한국형자율주행 #자율주행컨퍼런스 #미래모빌리티 #자동차산업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