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인류 공동의 과제를 앞두고, 인공지능(AI)이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일 서울에서 열린 ‘국제 AI와 기후변화 컨퍼런스’에는 정부, 학계, 산업계 관계자 450여 명이 참석해 AI 기술의 기후 대응 활용 가능성을 집중 조명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외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주관한 행사로, 파리협정 10주년을 맞아 한국의 중재적 외교 역량과 기술력을 동시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참석자들은 기후 예측 정밀도 향상, 에너지 효율 최적화, 전력망 운영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이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스톡홀름환경연구소의 솜야 조시(Somya Joshi) 박사는 기조연설에서 “AI는 기후 문제 해결의 새로운 도구이자, 동시에 정보 왜곡의 위험을 내포한 기술”이라며 “책임 있는 알고리즘 설계와 투명한 데이터 기반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분야 세션에서는 스마트 그리드, 재생에너지 변동성 예측, 탄소배출 모니터링 등 AI의 실질 적용 사례들이 소개됐다. 마이크로소프트 코리아 신용녀 기술총괄은 “AI가 기후 지능(climate intelligence)을 실현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전력 관계자 또한 “AI 기반의 전력망 운영은 폭염·폭설 같은 극한 기후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기술의 이면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왔다. 특히 AI 기술이 대규모 전력과 냉각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탄소배출 저감이라는 본래 취지와 모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컨퍼런스 참석자들은 “에너지 절감형 AI 모델 개발”과 “디지털 인프라의 친환경 설계”를 새로운 과제로 제시했다.
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는 “한국은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기술·정책 격차를 메우는 가교 국가로서, 지속 가능한 AI 협력 플랫폼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단순한 기술 전시가 아니라, AI 기술이 기후변화라는 인류 공동 과제 해결의 파트너가 될 수 있는지를 가늠해보는 자리였다. 전문가들은 “기술 낙관론이나 공포론을 넘어선 ‘균형적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며, 국제 사회가 공동의 책임과 비전을 공유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글 / 한만수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