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챗GPT 생성 이미지]
최근 AI 챗봇인 ‘챗GPT’가 맹독을 가진 ‘붉은사슴뿔버섯’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붉은사슴뿔버섯을 ‘면역력 강화와 피로 회복 등에 좋다고 알려진 약용 버섯’으로 소개하거나 ‘적당히 즐기면 이로운 식재료가 될 것’이라고 대답한 캡쳐가 가 돌아다니면서부터이다.
논란이 된 이유는 붉은사슴뿔버섯은 절대 섭취해서는 안되는 맹독성 버섯이기 때문으로 화려한 외형을 가진 붉은사슴뿔버섯은 소량으로도 인체에 치명적이고 영구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특히 붉은사슴뿔버섯에 함유된 트리코테신 계열의 독성물질은 섭취 시 소화기 계통뿐 아니라 신경계와 호흡기, 혈액, 피부 등 전신에 걸쳐 심각한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이에 7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은 정보를 안내하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산림과학원에 따르면 과거 붉은사슴뿔버섯에서 발견된 로리딘E라는 물질이 유방암 치료제로 쓰이는 독소루비신보다 500배 이상 강력한 항암 효능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바 있으나 이 같은 효능은 로리딘E를 정제된 단일 물질로 사용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효능으로, 붉음사슴뿔버섯 자체를 섭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박응준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장은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은 전문가도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어 섭취해서는 안된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7일 현재에도 챗GPT에 해당 내용 관련하여 챗GPT에게 문의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자들이 오해할 수 있도록 다소 긍정적인 답변을 제공하고 있어 논란은 당분간 쉽게 사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챗GPT 캡쳐]
글 / 홍정민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