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현재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이제 마지막 막내 제품인 지포스 RTX 5050 이 출시되면서 마무리가 되었다. 지포스 RTX 5050 은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에서 GDDR6 메모리를 사용하는 마지막 제품으로 노트북용으로 출시된 지포스 RTX 5050 의 경우는 GDDR7 메모리가 사용되어 사실상 지포스 RTX 40 시리즈 외에 마지막 GDDR6 메모리를 사용하는 그래픽카드가 되었다. 오늘 기사는 이 새롭게 출시된 막내 그래픽카드인 지포스 RTX 5050 의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이엠텍
▲ 간략 스펙 : RTX 5050/PCIe5.0x16(at x8)/정격파워550W 이상/전원 포트: 8핀 x1/가로(길이): 262.1mm/베이스클럭: 2317MHz/부스트클럭: 2572MHz/스트림 프로세서: 2560개/GDDR6/출력단자: HDMI2.1, DP2.1/지원정보: 8K 지원, HDR 지원, HDCP 2.3/사용전력: 130W/2팬/두께: 40.1mm/제로팬(0-dB기술)/백플레이트/LED 라이트/ThunderMaster/A/S 3년
▲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그래픽카드는 2개의 팬으로 전체적인 그래픽카드의 쿨링을 처리하는 구조다. 이 그래픽카드가 갖고 있는 소비전력 수준은 약 130W 정도이어서 낮은 소비전력을 갖고 있는 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PCIe 5.0 슬롯은 16 배속 외형을 갖고 있으니 실제 작동하는 속도는 PCie 5.0 8 배속에 해당된다. 이 부분은 상위 모델인 지포스 RTX 5060 Ti 부터 지포스 RTX 5050 까지 해당된다.
▲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에는 12V 8핀 커넥터 하나로 전력을 공급 받으며 DUAL 이라고 프린팅이 된 하단에 선으로 처리된 ARGB LED 가 적용되어 있다. ARGB LED 의 색상은 엔비디아 그린이 적용되어 있다.
▲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의 백-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소재라 만들어져 있으며 2번째 쿨러가 있는 반대편에는 위 사진에서 보는 것과 같이 타공 처리 해두어 원할한 공기의 배출이 되도록 되어 있다.
▲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의 출력 포트는 3개의 디스플레이 포트와 하나의 HDMI 포트로 구성되며 모두 동일한 2.1b 스펙을 지원한다. 이 출력단 부분은 지금까지 출시된 모든 지포스 RTX 50 시리즈와 동일하다.
■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벤치마크 셋업
● 프로세서 : AMD 라이젠7 9800X3D
● 메모리 : ADATA DDR5-6000 CL30 16GB x2
● SSD : WD_BLACK SN850X 2TB
● 메인보드 : 기가바이트 X870 어로스 엘리트 와이파이7
▲ 간략 스펙 : AMD(소켓AM5) / AMD X870 / DDR5 / VGA 연결: PCIe5.0 x16 / ATX (30.5x24.4cm) / 전원부: 16+2+2페이즈 / 페이즈당60A / Vcore출력합계: 960A / [메모리] 8000MHz (PC5-64000) / 4개 / 메모리 용량: 최대 256GB / XMP3.0 / EXPO / [확장슬롯] PCIe버전: PCIe5.0, PCIe4.0, PCIe3.0 / PCIex16: 1개 / PCIex16(at x4): 1개 / PCIex16(at x2): 1개 / [저장장치] M.2: 4개 / SATA3: 4개 / M.2 연결: PCIe5.0, PCIe4.0, NVMe 등
▲ PALIT GeForce RTX 5050 DUAL 의 3DMARK 성능
▲ PALIT GeForce RTX 5050 DUAL 의 사이버펑크2077 프레임 수치
▲ PALIT GeForce RTX 5050 DUAL 의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적용했을 때 성능
■ MFG 를 통한 게이밍은 가능,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오늘 소개한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는 상당히 낮은 스펙을 갖고 있다. 특히나 전세대 대비 쿠다 코어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줄어 들었기 때문에 그래픽카드를 필요로한 데스크탑 환경에서 가장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였다. 게이밍 환경적인 특징을 보자면 FHD 해상도에서 간단하게 플레이를 할 수 있으나 그 이상의 해상도에는 게임을 즐기기엔 무리가 있었다. 조금 다행이라고 봐야하는 부분은 엔비디아의 DSLL4, 멀티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지원하는 게임이라면 FHD 해상도에서는 원할한 게이밍 성능을 제공했다. 단, 문제는 예전 게임들에서는 이 기술,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게임 환경에 사용하기엔 부족함이 있다. 최근 게임들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에 최적화가 되어 있는 게임에서만 FHD 해상도에서 어느 정도 괜찮은 성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간단한 테스트로 진행된 사이버펑크 2077 에서는 순수한 성능과 더불어서 MFG 를 통한 성능은 출시가 된지 그리고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최적화가 되어 있는 만큼 나쁘지 않은 프레임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HD 해상도에서 게임 정도만 간신히 진행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대형 AAA 급 게임을 FHD 해상도에서 하기엔 무리감이 있어 보였다.
그래서 지포스 RTX 5050 그래픽카드는 게이밍용 그래픽카드라고 평가를 하기 보다는 그래픽카드를 필요로 한 다중 모니터 환경에 사용할만한 제품으로 보여지며, 그 외에 초,중학교 아이들이 많이 하는 게임인 마인크래프트 혹은 로블록스 를 FHD 해상도 정도로 플레이를 할 때 쓸만한 그래픽카드가 아닐까 싶다.
최신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