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오토헤럴드 DB)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글로벌 ESG 규제와 디지털 제품 여권(DPP), 탄소 발자국 공개 의무화 등 자동차산업을 둘러싼 무역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산업계와 정부가 함께 자동차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가 9일 주관한 ‘자동차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전략 토론회’에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각각 발표를 통해 국내 산업의 탄소 규제 대응 실태를 진단하고, 디지털 기반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최근 유럽연합(EU)은 디지털 제품 여권, 배터리 규정, 지속가능성 공시 등을 통해 자동차 산업 전반의 탄소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벤츠, BMW, 폭스바겐 등 주요 완성차 업체는 협력업체에 탄소배출량과 산정 방법론, 제3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한 공급망 정보를 의무적으로 제출받고 있으며, 미국·중국·일본도 자국 기업에 유사한 요구를 확대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EU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 2026년에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2027년에는 디지털 제품 여권(DPP) 제도가 본격 시행된다. 국내 협력사들이 직접적인 보고 대상은 아니지만, 글로벌 OEM의 공급망 관리 체계에 따라 간접적으로 규제를 적용받게 된다.
신호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장은 이날 발표에서 “자동차 부품의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은 점점 더 디테일하고 투명한 데이터를 요구받고 있다”라며 “디지털 기반 제품 여권 시스템과 데이터 플랫폼이 핵심 대응 수단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DPP는 설계부터 재활용, 해체 단계까지 제품 정보를 디지털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자동차뿐만 아니라 배터리, ICT, 가전 등 전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EU는 UNECE와 협력해 ‘1차 데이터(Primary Data)’ 기반 탄소 산정 기준을 마련 중이며, 국내 기업도 이에 맞춰 현장 데이터 수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임헌정 한국자동차연구원 실장은 공급망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플랫폼 구상도 공개했다. 이미 데이터센터 구축을 완료하고 5종의 자동차 데이터 기반 서비스(API 마켓, GPUaaS, 탄소 계산 시스템 등)를 운영 중이다.
이날 임 실장은 국내 기업의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면서 EU의 카테나-엑스(Catena-X) 및 일본 우라노스 에코시스템(Ouranos Ecosystem)과 호환되는 분산형 데이터 교환 플랫폼 ‘KADaP-X’도 소개했다. KADaP-X는 PCF(제품 탄소 발자국) 계산, LCA(전과정 평가), DPP 산출 서비스를 포함하며 오는 10월 베타 오픈 예정이다.
협력사는 별도 시스템 구축 없이 클라우드 방식으로 접속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민감정보 보호를 위해 EDC(통신보안 프로토콜)도 적용된다. 향후 국내 제조기업과 데이터 기업, 인증기관 간 연계 서비스도 확대해 모든 Tier의 협력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오는 9월부터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전략’ 가이드라인 수립에 착수해 2026~27년 내 본격적인 산업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배터리, 자동차, 철강 등 규제가 집중된 5대 업종부터 전 산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번 토론회는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추진된 과제로 참석자들은 “국제표준을 따르면서도 한국형 체계로 디지털 공급망 생태계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 인센티브와 민간 협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