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는 25일 컨퍼런스콜을 통해 2025년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기아는 글로벌 도매 판매 81만 4,888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5% 성장했으며, 매출은 29조 3,496억원으로 6.5% 증가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그러나 미국발 관세 부담이 본격화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4.1% 줄어든 2조 7,648억원에 그쳤다.
기아 관계자는 “미국 관세가 실적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지만, 하이브리드 중심의 글로벌 수요 확대와 신차 효과 덕분에 판매는 증가세를 유지했다”며,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와 환율 호조로 견조한 수익성 기반을 지킬 수 있었다”고 밝혔다.
국내외 판매 실적…신차 효과로 성장세
2025년 2분기 기아의 국내 판매는 전년 대비 3.2% 증가한 14만 2,535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K3 단종에도 불구하고 소형 픽업 ‘타스만’과 전기차 ‘EV4’ 등 신차 출시가 호조를 이끌었다. 해외 판매는 67만 2,353대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카니발 하이브리드와 K4가 강세를 보이며 4.1% 성장했고, 인도 시장에서는 ‘시로스’ 신차 효과로 9.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매출 증가에도 수익성은 하락
기아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판매 증가와 ASP(평균판매단가) 상승, 환율 효과에 힘입어 2분기 매출을 29조 3,496억원까지 끌어올렸다. 하지만 관세와 인센티브 증가로 매출원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4.1%포인트 상승한 80.0%를 기록, 영업이익률은 9.4%로 하락했다. 경상이익은 3조 2억원, 당기순이익은 2조 2,682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5.7%, 23.3% 줄었다.
친환경차 판매 14% 증가…하이브리드 강세
2분기 친환경차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한 18만 5천대(소매 기준)로 집계됐다. 이 중 하이브리드 모델은 11만 1천대가 판매되며 전년 대비 23.9% 증가했다. 전기차는 5만 9천대(8.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1.6만대(16.8%↓)로 나타났다.
시장별 친환경차 비중은 국내 46.5%, 서유럽 42.9%, 미국 16.9%를 차지했다. 전체 판매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3.4%로, 전년 대비 2%포인트 상승했다.
하반기 전망…EV5·PV5로 전기차 풀라인업 완성
기아는 하반기에도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와 경기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 등 하이브리드 모델 중심의 국내 판매 확대와 EV5, PV5 신차 출시를 통해 전기차 풀라인업을 완성, 판매 모멘텀을 강화할 계획이다.
미국 시장에서는 유연한 생산 운영과 스포티지·쏘렌토·카니발 하이브리드 공급 확대를 통해 수익성 제고에 나선다. 유럽에서는 EV4를 비롯해 EV3, EV5, PV5 등 전기차 신모델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방침이다. 인도에서는 현지 전략형 전기차 ‘카렌스 클라비스 EV’ 출시와 딜러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연 30만대 판매 체제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EV2, EV3, EV4, EV5 등 대중형 전기차 라인업 확충과 PBV, 픽업 등 신규 세그먼트 진출을 통해 글로벌 전동화 선도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