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그룹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e) 시대의 본격적인 양산 체제 구축을 위해 핵심 협력사들과 기술 표준을 공유하고 협력 기반을 강화했다.
현대차그룹은 20일 경기도 판교 소프트웨어드림센터에서 ‘Pleos SDV 스탠다드 포럼’을 열고, 현대모비스·현대케피코·보쉬·콘티넨탈·HL만도 등 주요 협력사를 포함한 국내외 58개사의 엔지니어링 핵심 인력과 함께 소프트웨어 중심의 개발 전환 전략을 논의했다.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재편되는 자동차 산업
SDV는 기존 차량처럼 하드웨어 완성 시 기능이 고정되지 않고, 출고 후에도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기능 확장이 가능한 새로운 자동차 패러다임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완성차 기업뿐만 아니라 부품사·보안·진단·검증까지 포함한 전 분야의 개발 환경이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표준과 협력 체계가 필수적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포럼에서 ▲차량 개발 방식 전환 ▲CODA 아키텍처 적용 ▲Pleos Vehicle OS 기반 SW 개발 ▲Plug & Play 확장 구조 ▲OEM-협력사 통합 개발 도구체계 등 5개 세션을 통해 SDV 양산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표준화된 SW 개발 환경 도입
포럼에서는 협력사들이 자사 개발 환경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개발 체계가 공개됐다. 이 체계는 소프트웨어 사양 정의부터 기능 검증, 개발 이슈 관리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며, 협력사와 현대차그룹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각 협력사의 역량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개발 효율성과 품질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 수직 공급망을 소프트웨어 중심 수평 협력 구조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지속적 협력과 생태계 확장
현대차·기아 AVP본부장 송창현 사장은 “SDV 구현을 위해서는 협력사와의 긴밀한 파트너십과 표준화된 개발 체계 확산이 필수”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표준 배포와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SDV 양산에 최적화된 공급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협력사들이 SDV 전환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정기적인 포럼 운영을 통해 기술 로드맵을 공유하며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테크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