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업계에서 정체불명의 새로운 모델이 떠오르고 있다. 최근 온라인 AI 커뮤니티와 테스트 플랫폼에서 등장한 ‘나노 바나나(Nano-Banana)’가 그것이다. 공식 발표도, 개발사 명칭도 공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AI 이미지 편집의 새로운 기준”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나노 바나나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어 기반의 직관적 편집 능력이다. 사용자가 단순히 “배경을 저녁 하늘로 바꿔줘”라고 지시하면, 복잡한 마스킹 과정 없이도 이미지가 정밀하게 수정된다. 기존 모델들이 오류를 자주 범했던 인물의 손가락, 반사광, 배경 일관성 같은 요소도 상당 부분 개선된 것으로 보고된다. 일부 기술 블로그는 “속도와 정확성, ID 유지 능력에서 기존 메이저 모델들을 앞선다”고 분석했다.
Made by gpt-image-1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증명 신호(provenance signals)’ 기능이다. 이는 생성된 이미지가 AI를 통해 편집되었음을 추적할 수 있는 보안 장치로, 향후 이미지의 신뢰성과 출처 논란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편집 도구를 넘어, 윤리적 안전 장치가 결합된 차세대 AI 모델”로 평가한다.
Made by seededit-3.0
그러나 정체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커뮤니티에서는 이 모델이 구글의 Imagen 혹은 Gemini 계열 실험 모델일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으며, 일부는 독립 연구팀이 개발한 오픈 소스 실험작일 가능성도 제시한다. 현재로서는 FluxProWeb, LMArena와 같은 제한된 테스트 환경에서만 관찰되고 있으며, 상용화 여부조차 알려지지 않았다.
Made by flux-1-kontext-dev
사용자 반응은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다. 레딧과 AI 이미지 공유 플랫폼에서는 “마치 인간 디자이너가 손수 수정한 듯 자연스럽다”는 평가가 이어졌고, 일부는 “AI 특유의 어색한 질감이 거의 사라졌다”며 놀라움을 표현했다. 특히 반복 편집 시에도 전체적인 톤과 구도가 무너지지 않는 점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Made by gemini-2.0-flash-preview-image-generation
다만 한계도 분명하다. 복잡한 텍스트 삽입, 정교한 손 디테일, 극단적 조명 처리 등에서는 여전히 오류가 발생하며, 완전한 ‘인간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이는 나노 바나나가 아직 실험적 단계임을 방증한다.
Made by nano-banana
업계에서는 이 모델의 등장을 AI 이미지 편집 분야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정식 공개 여부와 관계없이, 나노 바나나는 “AI 편집 퀄리티가 어디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자리 잡았다. 향후 공식 발표가 있을 경우, 생성형 AI 시장의 판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글 / 한만수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