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차량용 반도체 연구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기능안전 국제표준인 ISO 26262 인증을 최고 등급으로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특정 제품이 아닌, 반도체 설계부터 품질 검증에 이르는 모든 연구개발 과정의 신뢰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1일 현대모비스는 세계적 권위의 심사기관인 독일 엑시다(Exida)로부터 ISO 26262 최고 등급(ASIL D) 인증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ISO 26262는 자동차 전기·전자 시스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국제 표준으로, 최고 등급인 ASIL D는 99% 이상의 엄격한 신뢰도를 요구한다.
독자 기술력 확보, 'K-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확장 주도
현대모비스는 이번 인증을 계기로 자체 설계 반도체와 이를 탑재한 핵심 부품의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할 계획이다. 표준화된 개발 절차를 갖춘 만큼, 앞으로 설계하는 모든 반도체는 별도 인증 없이도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글로벌 부품사와의 수주 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는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1년 현대오트론으로부터 차량용 반도체 사업을 인수한 현대모비스는 올해부터 자체 설계 반도체의 양산을 본격화하고 있다. 현재 에어백, 친환경차, 모터 제어 등에 사용되는 총 16종의 반도체를 개발해 올해 2천만 개 이상 양산할 예정이다.
나아가 배터리관리시스템, 통신용 반도체 등 차세대 반도체 11종은 3년 내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인증을 통해 확보한 노하우를 국내 협력사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K-차량용 반도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독자적인 생태계 확장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국내 반도체 설계 기업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등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