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해질만으로 구성된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의 전기차(EV)용 양산이 가시화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토요타와 이데미츠 코산이 2027~2028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2026년 양산을 계획하는 기업들이 잇따라 등장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했던 것에서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높은 안전성, 넓은 작동 온도 범위, 초고속 충전,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이 특징이다. 전극 재료 선택의 자유도가 높아 향후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전기차의 사용성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끌어올릴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많은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막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는 업체는 일본 토도요타-이데미츠 코산을 비롯해 대만 프롤로지움 테크놀러지, 미국 퀀텀 스케이프, 솔리드 파워, 한국 SK온, 중국 CATL, BYD,고숀 하이테키 등이 있다. 샤오미는 최대 4cm 두께의 전극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특허를 공개해 주목받았다.
그러나 전고체 배터리의 실용화에는 여전히 난관이 존재한다. 기존 배터리보다 훨씬 높은 초기 제조 비용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특히 일부 신생 기업들은 경기 악화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26년 양산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을지 여부가 전고체 배터리 시장의 미래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