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라인업 중에 가장 막내 그래픽카드는 지포스 RTX 5050 이다. 하지만 조금 생각을 해보면 "지포스 RTX 4050 이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것이다. 엔비디아에서는 지포스 RTX 4050 은 노트북 용 그래픽 칩셋으로만 내어놓고 데스크탑 용을 "스킵" 했다. 그래서 지포스 RTX 4050 의 자리를 지금까지 지포스 RTX 3050 8GB 혹은 6GB 모델이 계속 대체해왔다. 이 두가지 모델은 지금까지도 판매가 되고 있는데 6GB 모델의 경우는 96비트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가졌으며 8핀 12V 커넥터가 필요 없는 그래픽카드이며 그리고 8GB 모델의 경우는 128 비트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12V 8핀 커넥터 하나로 작동한다.
그렇다면 데스크탑용 지포스 RTX 3050 은 언제 출시가 되었을까? 간단하게 서치를 해보게 되면 22년 1월 27일 즈음에 출시가 되었으며 출시가 되었을 때 MSRP는 249 달러였다. 현재 그래픽카드 제조사들 마다 차이가 있지만 25 ~ 30 만원 선에 신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할 제품은 2025년 8월 약 3년 6개월 만에 지포스 RTX 3050 8GB 모델을 대체할 모델, 출시 가격인 MSRP 249 달러로 가격까지 동일한 지포스 RTX 4050 8GB이다.
■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 D6 8GB
▲ 상세 스펙 : RTX 5050 / PCIe5.0x16(at x8) / 정격파워550W 이상 / 전원 포트 : 8핀 x1 / 가로(길이) : 164.5mm / 베이스클럭 : 2317MHz / 부스트클럭 : 2572MHz / 스트림 프로세서 : 2560개 / GDDR6 / 출력단자 : HDMI2.1 , DP2.1 / 지원정보 : 8K 지원 , HDR 지원 , HDCP 2.3 / 사용전력 : 130W / 전원부 : 3+2페이즈 / 1팬 / 두께 : 36.4mm
▲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 의 GPUZ 정보
▲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 의 패키지는 그래픽카드 본체 외에 설명서-보증서 그리고 조텍을 캐릭터화 한 스티커 등의 굿즈를 제공한다.
▲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 는 2 슬롯의 두께를 갖고 있으며 11.2 x 164.5mm 의 길이와 높이를 가졌다. 상당히 짧은 길이를 갖고 있는 만큼 메인보드의 PCIe 슬롯에 장착하게 되면 PCIe 슬롯의 길이를 살짝 넘었다. 가장 엔트리 레벨에 해당되는 그래픽카드인 만큼 후면에는 백-플레이트 까진 적용되지 않았다.
▲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 의 출력 단자는 총 4개로 디스플레이포트 2.1b 3개와 HDMI 2.1b 1개 이다. 이 숫자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등의 구성 및 숫자와 동일하다.
▲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 는 방열판은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핀과 3개의 히트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90mm 팬 하나로 전체적인 그래픽카드의 열기를 식히는 구조다. 이 제품의 스펙에 따르면 그래픽카드가 사용하는 최대 소비전력이 130W 정도 인 것을 감안하면 충분한 방열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좌, 아이들 상태에서는 GPU 클럭 작동 및 그래픽카드 전체 소비전력 / 우, 풀로드 상태에서 GPU 클럭 작동 및 그래픽카드 전체 소비전력
■ 가장 긴 라이프 사이클을 갖게 될 지포스 RTX 5050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를 간단한 소비전력 측정을 통해 이 그래픽카드가 사용하고 있는 전력을 측정해 보게 되면 풀로드시 소비전력은 약 130W 정도로 측정이 되었는데 히트 파이프와 방열판 그리고 하나의 90mm 팬으로 작동을 함에도 상당히 조용한 그래픽카드였다. 아쉽게도 90mm 팬에는 제로팬 기술이 적용되어 있지 않고 아이들시 약 1,100 RPM 으로 항시 작동되며, 풀로드 상태에서는 약 1,700RPM 으로 팬을 작동시키는데 풀로드 시에 팬 작동 소리가 들리지 않을 정도로 상당히 정숙했다. 게이밍 성능은 브레인박스에서도 여러 제조사들의 지포스 RTX 5050 그래픽카드를 리뷰 했었는데 결론적으로 보자면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5050 은 DLSS4,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제공하는 게임의 FHD 해상도에서는 어느 정도 게임이 가능한데 재미있는 사실은 예전 게임에서 보다는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게임 일수록 DLSS4, 프레임 제네레이션을 지원하기 때문에 옛날 게임 보다는 최근에 출시된 게임을 즐기려고 할 때 FHD 해상도에서 어느 정도 게임을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 그래픽카드가 게이밍 이라는 컴퓨터 환경도 환경이지만 지포스 RTX 3050 그래픽카드가 그리고 지포스 RTX 5050 이 앞으로 꾸준하게 판매될 가장 큰 이유는 꼭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만 하는 컴퓨팅 환경에 꾸준하게 존재해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서 2개에서 4개 사이의 모니터를 사용해야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환경에서 근무하는 사무실에서는 프로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그래픽코어의 성능 과 다중 모니터 환경의 지원 등은 엔비디아에서 제공하는 스펙과 소프트웨어, 앱의 환경과 큰 차이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기사의 서두에서 언급을 했다시피 엔비디아의 새로운 GPU 라인업 출시 주기 등을 고려했을 때 지포스 RTX 5050 의 후속 모델은 아마도 지포스 RTX 7050 정도로 예상이된다. 지금을 기준으로 보게 된다면 조금은 긴 시간 후에 나오게 될 예정인데 오늘 소개한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8GB SOLO 모델은 자사의 추가적인 A/S 보증 기간을 더해 최장 5년의 무상 보증 기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중 모니터 환경 그리고 긴 사용시간 등을 고려하게 된다면 5년 이라는 긴 사후 보증 기간을 갖고 있는 조텍의 그래픽카드 시리즈를 구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최신 리뷰
- 원-팬 파스타 아니 원-팬 그래픽카드, ZOTAC GAMING 지포스 RTX 5050 SOLO
- 빠르고 간편한 와이파이5 (802.11ac) 커버리지 확장, EFM ipTIME Extender-A6T
- 화이트 게이밍 시스템 빌드를 위한 선택,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EX GAMER WHITE OC D7 12GB
- 코어 울트라 245K & 265K 를 위한 가성비 메인보드, ASRock B860M PRO RS WIFI - 에즈윈
- 라이젠7 9800X3D 모든 선을 감추다. 기가바이트 B850 AORUS STEALTH ICE - 제이씨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