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분야의 다보스 포럼’으로 불리는 세계 물 주간(World Water Week)이 8월 28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막을 내렸다. 올해 주제는 ‘물을 위한 기후 행동(Water for Climate Action)’으로, 물 관리와 보전을 위한 적극적 실천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유엔글로벌콤팩트(UNG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 물 수요는 가용 공급량의 14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역시 최근 몇 년간 지역 단위의 가뭄을 겪으며 수자원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단순한 물 사용 절감을 넘어 물 환원과 생태계 회복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생산 공정에서 물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숲가꾸기와 유역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등 자연기반해법을 통해 깨끗한 물을 자연에 돌려주는 순환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 코카-콜라, 여주 숲에서 워터 포지티브 실천
사진 =한국 코카-콜라사
한국 코카-콜라는 2017년부터 최종 제품에 사용된 물을 사회와 자연에 돌려주는 ‘물 환원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특히 2023년부터는 여주 공장을 중심으로 생산에 사용한 물보다 더 많은 양을 환원하는 숲가꾸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잡초와 유해 수종 제거, 나무 간격 조정 등을 통해 숲이 스스로 물을 정화·순환하도록 돕고, 토양 구조 개선으로 수분 흡수력을 높였다. 2024년까지 가꾼 여주 숲의 면적은 285헥타르에 달하며, 이는 여의도 면적과 맞먹는다. 한국 코카-콜라는 2035년까지 ‘워터 포지티브(Water Positive)’ 달성을 목표로 한다.
스타벅스, 한강변 ‘수풀로 금남리’ 조성
사진 =스타벅스 코리아
스타벅스 코리아는 한강유역환경청, 자연환경국민신탁과 협력해 수변 녹지 복원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대표 사례로 ‘수풀로 금남리’ 프로젝트가 있다. 약 1만7953㎡ 규모의 공간에 커피박을 재활용한 산책로, 자생 식물 군락, 시민 휴식 공간을 조성해 지속가능한 생태 환경을 구현했다. 스타벅스 파트너와 시민이 함께 나무심기, 덩굴 제거 등 생태 복원에 참여하며, 최근에는 시민 250명과 함께한 체험형 환경 클래스도 진행했다.
GS리테일, 제주 바다 살리는 ‘바다숨’ 캠페인
사진 =GS리테일
GS리테일은 해양수산부와 협약을 맺고 멸종위기종 바다거북 보호 활동을 벌이고 있다. 오션·팀부스터와 협력해 시민 참여형 해양 보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수중 생태계 기후 감시 활동도 전개한다. 지난 5월 ‘바다의 날’에는 제주 해안 정화 활동을 집중 실시해 해양 생태계 보전에 기여했다.
환경부·기업, 공동 ‘워터 포지티브’ 협력체 출범
사진 =환경부
환경부는 지난 3월 한국수자원공사, 한국 코카-콜라, 아모레퍼시픽, 풀무원과 함께 ‘워터 포지티브’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개념은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환원하는 것으로, 용수 활용 효율화, 하·폐수 재이용 등 다양한 실천 활동을 포함한다.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향후 유역 맞춤형 수질 개선 사업을 발굴하고, 참여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세계 물 주간은 단순한 물 절약을 넘어 기후 위기 대응 차원의 적극적인 물 관리와 보전 실천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확인시켰다. 한국에서도 기업과 정부가 힘을 합쳐 숲과 강, 바다를 지키는 ‘워터 포지티브’ 노력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물 부족 위기를 극복하는 핵심 해법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구글 ‘픽셀 워치 4’ 공식 발표… 위성 비상통화·수리 친화 설계·배터리 25%↑
· 조텍코리아, RTX 5070 Ti 그래픽카드 2종 한정 특가 이벤트 진행
· 캘빈클라인, 배우 나나와 함께한 2025 가을 데님 캠페인 공개
· MSI, AMD 라이젠 Z2 익스트림 기반 휴대용 게임기 ‘클로 A8 BZ2EM’ 8월 22일 국내 출시
· KFC, 인기 점심 메뉴 ‘런치킨 박스’ 9월 말까지 한정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