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 전문기업 와이즈넛(대표 강용성, 096250)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에이전틱 AI 기반 전국민 맞춤형 민원상담 서비스 사업을 수주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약 11억 원 규모로 추진되며 올해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정부 정책과 연계된 핵심 실증과제
이번 사업은 정부가 추진하는 ‘2025년도 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의 핵심 실증과제로 진행된다. 초거대 AI 기술 자립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공공분야에 AI 에이전트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와이즈넛은 경기도청, 한국도로공사 등 다수의 공공기관 AI 프로젝트 경험과 자사 생성형 AI 에이전트 기술력을 바탕으로 공공기관 최초로 업무별 AI 에이전트 간 유기적 협업이 가능한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를 통해 행정 효율화를 실현하고, 대국민 상담 서비스를 혁신하는 공공행정 AX(인공지능 전환) 모델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맞춤형 상담과 보안 강화 기능 탑재
국민건강보험공단 AI 민원상담 서비스에는 다양한 기능이 도입된다. △공단 내부 시스템과 공공 행정 특화 LLM·RAG 기반 AI 플랫폼을 활용한 에이전트 구축 △상담 이력 기반 개인 맞춤형 응답 △멀티모달 검색을 통한 스미싱·피싱 판별 등이다.
특히 고객 상담을 업무별 전문 AI 에이전트로 나눠 맞춤형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이후 3단계 고도화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에이전트 간 협업과 복합 추론이 가능한 완성형 에이전틱 AI 서비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MCP 적용 통한 정밀 상담 구현
와이즈넛은 이번 사업에서 핵심 기술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적용해 AI 모델과 외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연동한다. 또한, 검색 기반 생성 기술을 고도화해 사용자 유형과 이전 상담 이력에 따른 맞춤형 검색 우선순위를 설정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고 선제적인 상담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함께 와이즈넛은 지난 202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AI 챗봇 ‘건강이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당시 확보한 내부 시스템 연동 노하우와 지식 설계 역량이 이번 사업에 그대로 접목되어 맞춤형 상담 서비스 구현에 큰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상담 커버리지 90% 이상 확대 기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복잡했던 민원 상담 절차를 크게 간소화하고, 상담 커버리지를 기존 39%에서 단계적으로 90%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정교해진 상담 품질과 사용자 경험 향상을 통해 AI 상담 이용률과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며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할 전망이다.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는 “공공기관 상담 수요가 매년 증가하는 상황에서 상담 대기 해소와 행정 효율화를 위한 선도적 AI 도입은 필수 과제가 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은 공공기관 전반으로 확산 가능한 에이전틱 AI 서비스의 표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와이즈넛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AI 기반의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기가바이트, 세계 최초 500Hz QD-OLED 게이밍 모니터 AORUS FO27Q5P 출시
· 큐센, 국내 최초 유·무선 8,000Hz 지원 ‘Q104 8K 풀윤활 가스켓 기계식 키보드’ 출시
· 소니, 게이머 위한 ‘인존’ 풀 라인업 공개…프나틱과 만든 이어폰·키보드·마우스 출시
· 더본코리아, 글로벌 수출용 소스에 ‘QR코드 레시피’ 도입
· 홀리카 홀리카, 신제품 ‘글로우 라이즈 밤’ 출시… 8가지 컬러로 선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