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쉬(Bosch)가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에서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이끌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보쉬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독보적인 공급자라는 강점을 강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차별화된 입지를 부각시켰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보쉬 그룹 회장 스테판 하퉁 박사(Dr. Stefan Hartung)는 “정교한 하드웨어 없이는 어떤 스마트카도 움직일 수 없다”며 “보쉬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두에 정통하며,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시대에 맞춤형 지능형 솔루션을 제공해 산업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표적인 사례로 브레이크-바이-와이어(brake-by-wire), 스티어-바이-와이어(steer-by-wire) 기술이 있다. 기계적 연결 없이 소프트웨어 제어로 작동하는 이 시스템은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로 꼽히며, 보쉬는 2032년까지 누적 매출 70억 유로 이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차량을 ‘개인 비서’로 만드는 소프트웨어
보쉬 모빌리티 사업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하드웨어를 넘어, 독립형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인 차량 모션 관리(Vehicle Motion Management)는 브레이크, 조향, 파워트레인, 섀시를 중앙 제어해 차량의 움직임을 원하는 대로 조율할 수 있다. 버튼 하나로 부드러운 주행, 민첩한 주행, 무충격 정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 경험이 가능하다.

보쉬는 이미 유럽, 중국, 일본의 20개 이상의 제조사에 해당 소프트웨어를 공급 중이며, 향후 3년간 9-자리 유로 규모의 투자를 통해 모듈식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계획이다.
ADAS·고성능 컴퓨터 사업 확장
보쉬의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은 제조사가 브랜드 성격에 맞춰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사전 설정 옵션을 제공한다. 또한 운전자 보조·인포테인먼트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 온 칩(SoC)에 통합하는 고성능 중앙 차량용 컴퓨터 사업은 연 5% 이상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BMW 그룹, SAIC-GM 등 글로벌 제조사들이 주요 고객이며, 중국에서는 AI 기반 콕핏을 구현하는 고성능 컴퓨터를 공급해 자연스러운 차량 대화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보쉬는 글로벌 주요 기업들과 협업하며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위라이드(WeRide), 호라이즌 로보틱스(Horizon Robotics)와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유럽에서는 폭스바겐 자회사 카리아드(Cariad)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이어가고 있다.

보쉬 모빌리티 회장 마르쿠스 하인 박사(Dr. Markus Heyn)는 “앞으로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에 맞게 설계될 것”이라며,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전환을 주도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