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한국 정부의 안보 관련 요구를 수용하고, 국내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지도 서비스에 대한 신뢰 회복에 나섰다.
정부 요구 수용 및 보안 조치 강화
9일 열린 구글 지도 서비스 관련 간담회에서 크리스 터너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문 부사장은 한국 정부가 제기해온 우려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위성 이미지 속 보안 시설을 가림 처리하는 것에 더해, 한국 영역의 좌표 정보를 구글 지도의 국내외 이용자 모두에게 보이지 않도록 조치하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크리스 터너(Cris Turner)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문 부사장
터너 부사장은 구글이 제출한 반출 신청 데이터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한 ‘1:5,000 국가 기본도’이며, 이는 이미 민감한 군사·보안 정보를 제외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또한 위성 이미지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으며 “구글이 보유한 위성 이미지는 상업 이미지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한 자료로, 국가 기본도와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가적으로 국내 파트너사가 제공하는 정부 승인 이미지를 활용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국내 파트너십과 협력 확대
구글은 지도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한국 국토부와 국토지리정보원, 지방자치단체, 학계와 긴밀히 협력해왔다고 밝혔다.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연세대·아주대 등과의 MOU 체결이 대표적 사례다. 앞으로도 민관 협력 체계를 강화해 한국 공간정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파트너사들도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구글 지도 국내 파트너사 에스피에이치(SPH)의 소광진 대표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충분한 경험과 역량을 갖춘 만큼, 구글과의 협력으로 한국 공간정보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도 데이터 반출 경제 효과 강조
터너 부사장은 지도 데이터 반출이 가져올 경제적 효과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 이호석 연구원과 호서대 곽정호 교수가 공동 발표한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지도 데이터 반출을 허용할 경우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약 18조 4천600억 원의 누적 매출이 추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공간정보 산업의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12.49%, 고용 성장률은 6.25%에 이를 전망이다.
터너 부사장은 “구글 지도 역시 이러한 변화의 중요한 한 축으로서, 한국 이용자와 외국인 관광객 모두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구글의 발표는 그간 제기되어 온 지도 데이터 반출 논란을 해소하고, 한국 정부의 보안 요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국내 파트너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한국 공간정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소니, 게이머 위한 ‘인존’ 풀 라인업 공개…프나틱과 만든 이어폰·키보드·마우스 출시
· 서린컴퓨터, 배틀필드6 기획전 PC 구매 고객에 게임 코드 증정 이벤트 진행
· 다크플래쉬, 합리적 가격의 저소음 멤브레인 키보드 ‘DK108’ 출시
· 공부·일·취미 다 되는 가성비 노트북 나왔습니다! ‘에이서 Aspire Lite 16(AL16-52P-337C)’
· ‘승리의 여신: 니케’, 바니걸 신규 SSR 니케 2종 전격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