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모터쇼(2025). 중국 정부가 수익을 목적으로 특정 브랜드, 모델에을 대상으로 악의적 콘텐츠를 제작 배포해 수익을 챙기는 행위에 대한 단속에 나선다.(오토헤럴드)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중국 정부가 특정 브랜드 또는 모델에 대해 악의적인 비방 콘텐츠로 부당한 이득을 챙기는 행위에 대해 집중 단속에 나선다.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를 비롯한 6개 부처는 공동으로 자동차 산업 온라인 질서 특별정비에 나선다. 이번 조치는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내린 신에너지차 산업 경쟁질서 규제 강화 방침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앞으로 3개월간 전국 단위로 집중 단속이 이뤄진다.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자동차 업계에서는 특정 업체의 제품 출시 시점에 맞춰 경쟁사의 매출 하락세를 과장하거나 ‘보호비’를 요구하며 악의적 보도를 일삼는 사례가 빈번했다. 예를 들어 일부 자칭 ‘자동차 평론가’들은 특정 전기차 브랜드의 배터리 화재 사례를 과도하게 편집·유포하며 유료 협찬을 받았다.
또 일부 홍보 대행사는 가짜 댓글부대(일명 ‘인터넷 수군’)를 동원해 특정 브랜드에 대한 악성 루머를 퍼뜨리고 협력하지 않을 경우 부정적 콘텐츠를 집중 배포하는 식으로 압박해 부당 이득을 챙기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사례를 ‘불법 이익 추구형 온라인 질서 문란’으로 규정하고, 특히 생성형 AI를 활용한 조작 콘텐츠 생산과 유령 계정 조직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다른 문제는 허위·과장 광고다. 예를 들어 한 중견 전기차 업체는 실제 주행거리가 400km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최대 600km 주행 가능’이라는 홍보 문구를 사용해 소비자를 오도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와 유사하게 일부 브랜드는 제3의 평가 기관을 사칭하거나 비공식 순위 데이터를 부풀려 홍보 자료에 활용하는 사례가 적발되기도 했다.
당국은 차량 성능·배터리 품질·판매량 등을 허위로 기재한 광고를 중점 조사하며, 불법 광고 계정을 공개적으로 차단하고 기업 책임자에게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자동차 업계 경쟁이 심화되면서 경쟁사 비방전 역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기업 임원이 개인 SNS 계정을 통해 경쟁사의 결함 사례를 과장해 올리거나, 조직적으로 악성 댓글을 유도하는 정황이 드러났다. 또 ‘팬덤화’된 커뮤니티가 특정 브랜드를 집단적으로 공격하면서 소비자 혼란을 가중시키는 사례도 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온라인 ‘검은 홍보(黑公关)’와 ‘검은 입(黑嘴)’ 활동을 집중 단속해 배후 홍보대행사 및 관련 자동차 기업까지 철저히 추적·처벌할 방침이다. 국내에서도 특정 업체를 집중 비방하는 콘텐츠로 수입을 올리는 이른바 '현까코인'이 논란이 된 바 있다.
중국 정부가 이처럼 강력한 단속에 나선 것은 업계 전반의 신뢰 회복과 자정 노력을 촉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일부 업체들의 온라인 마케팅 전략에 제동이 걸리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신뢰와 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