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적용해온 중국산 전기차 100% 수입 관세를 철폐하거나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중국의 보복 관세로 직격탄을 맞은 자국 농업을 살리기 위한 고민과 동시에 침체된 전기차 시장을 회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된다.
CTV뉴스에 따르면, 히스 맥도널드(Hearth MacDonald) 농업부 장관은 “총리가 전기차 관세 검토를 언급했다. 논의는 진행 중이며, 농민 보호를 최우선에 두겠다”고 말했다. 중국은 캐나다의 조치에 대응해 카놀라박, 카놀라 종자, 완두콩에 100%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곡물과 육류에도 추가 부담을 주며 보복에 나섰다. 캐나다는 2024년 중국에 36억 달러 규모의 카놀라 및 관련 제품을 수출했기 때문에 타격이 적지 않다.
만약 캐나다가 전기차 관세를 철폐한다면, 농업 수출 정상화와 더불어 중국산 전기차의 대거 유입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현재 침체된 캐나다 EV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크다.
캐나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전기차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39.2% 급감해 신차 판매 비중이 18.3%에서 8.6%로 떨어졌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역시 2.2% 감소했다. 퀘벡과 브리티시컬럼비아주가 EV 보조금 제도를 축소·중단하면서 소비자 수요가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 현재는 연방 차원에서 최대 5,000캐나다달러(약 500만 원)의 구매 보조금이 유지되지만, 차량 기본 가격이 55,000캐나다달러 미만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문제는 캐나다 내 판매되는 대부분의 EV 가격이 45,000캐나다달러 이상이라는 점이다. 테슬라 등 주요 브랜드의 EV는 모두 연방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돼,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성비 높은 전기차’를 찾기 어렵다. 이 때문에 기능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중국산 전기차가 유입될 경우, EV 수요 회복은 물론 캐나다의 전동화 전환에도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농업 수출과 전기차 산업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캐나다 정부가 중국산 EV 관세 철폐라는 양날의 선택을 어떻게 풀어갈지가 향후 주목된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