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챗GPT 생성 이미지
알바니아 정부가 공공 조달 부문에서 부패를 근절하기 위해 인공지능(AI)으로 만들어진 가상 장관을 임명했다. 새 장관의 이름은 ‘디엘라(Diella)’로, 알바니아어로 ‘태양’을 뜻한다.
지난 11일(현지 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에디 라마 알바니아 총리는 11일(현지시간) 4번째 임기를 앞두고 내각을 발표하며 디엘라를 소개했다. 그는 “디엘라는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AI로 창조된 첫 내각 구성원”이라며 “알바니아를 100% 부패 없는 공공 입찰 국가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엘라는 앞으로 정부가 민간 기업과 체결하는 각종 공공 사업 입찰을 관리·집행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동안 알바니아에서는 입찰 과정이 마약·무기 밀매 조직의 자금 세탁 통로로 악용되며 고위층까지 연루된 부패 스캔들이 이어져 왔다.
이러한 이미지 때문에 알바니아의 2030년 유럽연합(EU) 가입 목표에도 걸림돌이 되어왔다.
다만 정부는 디엘라의 운영 과정에서 인간의 감독이 어느 정도 이뤄질지, AI가 조작될 위험성은 없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출처 : tnx.africa
디엘라는 올해 초 e-알바니아 플랫폼에서 AI 기반 가상 비서로 처음 도입됐다. 전통 알바니아 의상을 입은 모습으로 음성 명령에 응답하고 전자 도장을 찍은 문서를 발급하며 행정 절차 지연을 줄이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국민들의 시각은 엇갈린다. 한 페이스북 이용자는 “알바니아에서는 디엘라조차 부패할 것”이라고 비꼬았고, 또 다른 이용자는 “도둑질은 계속되고 결국 디엘라가 탓을 뒤집어쓸 것”이라고 지적했다.
알바니아는 2030년까지 유럽연합(EU) 가맹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반부패는 주요 가맹조건 중 하나로 여겨진다. AI장관의 도입은 알바니아가 부패대책을 추진하는 자세를 국제사회에 보여주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글 / 김지훈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