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3,000만 대 팔아도 남는 게 없다, 중국 EV의 역설

글로벌오토뉴스
2025.09.17. 13:48:39
조회 수
80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중국은 지금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자동차 시장이자 전기차(EV) 혁신의 선두주자다. 2023년 중국 신차 판매량은 3,000만 대를 돌파했고, 이 중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달한다.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 중국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 화려한 성장 이면에는 또 다른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끝없는 가격 인하 경쟁과 수익성 악화, 이른바 ‘내권(内卷)’이라 불리는 자멸적 경쟁 구도가 바로 그것이다.

중국 정부가 최근 전기차 업체들에 가격 전쟁을 멈추라고 공개적으로 경고한 것은 단순히 시장 질서의 문제를 넘어선다. 국가 전략 산업으로 키운 전기차 분야가 과잉 경쟁으로 스스로를 소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 전반의 안정성마저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내권’이라는 단어는 원래 문화인류학의 학술 용어였다. 1960년대 클리퍼드 기어츠는 자바 농업 연구에서, 노동 투입은 늘어나지만 산출이 정체되는 상황을 ‘퇴도, 내권화 (Involution)’이라고 표현했다. 중국에서는 2020년 전후로 인터넷을 통해 청년층이 이 용어를 차용해 쓰기 시작했다.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해도 결국 996(주 6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근무) 체제에 묶인다면 무슨 의미가 있냐는 냉소가 담겨 있었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내권은 구조적이다. 중국 정부가 전략적으로 육성한 EV 분야에는 수십, 수백 개 브랜드가 뛰어들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보조금, 막대한 자본 투입이 맞물리면서 단기간에 생산능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문제는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무너졌다는 점이다. 기업들은 팔리지 않는 재고를 털기 위해 가격 인하를 단행하고, 경쟁사는 이를 따라가며 또 가격을 낮춘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산업 전체가 출혈 경쟁에 빠지는 것이다.





중국 전기차 시장은 2023년 이후 본격적인 가격 전쟁 국면에 접어들었다. 그 신호탄은 테슬라였다.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델의 가격을 전격적으로 내리자, BYD를 비롯해 샤오펑, 니오, 지리, 창안 등 주요 중국 브랜드들이 일제히 가격 인하 경쟁에 나섰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전기차 가격 하락이 호재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업계 내부에서는 치킨게임이라는 불안한 단어가 회자됐다. LSEG 통계에 따르면, 중국 상장 자동차 제조사 33곳의 평균 순이익률은 2019년 2.7%에서 2024년 0.83%까지 떨어졌다. 3,000만 대를 팔아도 남는 것이 거의 없다는 얘기다.


과잉 생산능력은 이 문제를 심화시킨다. 중국 내 전기차 연간 생산능력은 이미 4,000만 대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실제 판매는 3,000만 대에 그친다. 남는 1,000만 대의 생산능력이 시장을 압박하며 가격 전쟁의 불씨를 키우는 구조다.


기업들은 단순히 가격을 낮추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무이자 금융, 보조금, 충전 인프라 무료 혜택 등까지 내세운다. 그러나 이는 단기적 판매 촉진에 불과하며, 장기적으로는 재무 건전성을 악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산업 전체가 손익분기점을 잃어버린 채, ‘내권’의 수렁에 깊숙이 빠져드는 것이다.





중국 EV 내권 현상은 국경 안에 머물지 않는다. 과잉 생산능력을 해외로 수출하려는 움직임은 이미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BYD, 샤오펑, 니오 등은 유럽, 동남아, 남미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진출하며 저가 공세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곧 ‘중국산=저가’라는 인식을 강화시키며 브랜드 가치 상승을 가로막는 이중적 효과를 낳는다.


유럽연합은 이미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반보조금 조사에 착수했고,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중국 내부의 과잉 경쟁이 국제 무역 분쟁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미국 역시 중국 전기차의 북미 진입을 차단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 질서의 불확실성을 키운다.


더 나아가 EV 산업의 출혈 경쟁은 배터리, 전장, 철강 등 전후방 연관 산업 전반에 타격을 주고 있다. 중국 내에서는 이미 인력 감축과 임금 삭감이 현실화되고 있으며, 청년층 실업률은 17.8%에 달한다. 고용 불안은 곧 사회 불안으로 이어지고, 경제 전반에 디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내권 현상은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업계에도 뚜렷한 시사점을 남긴다.


첫째, 저가 공세의 압박이다. 동남아, 남미, 중동 등 신흥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의 존재감은 이미 눈에 띄게 커지고 있다. 현대·기아차 역시 가격 경쟁 압력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둘째, 차별화된 기술 경쟁의 필요성이다. 단순 가격 경쟁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 한국 자동차 업계가 배터리 효율,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자율주행 기술 등에서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다.


셋째, 산업 정책의 균형이다. 한국 역시 배터리, 전기차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중국의 사례는 과잉 생산능력이 산업 전체를 옥죄는 과정을 생생히 보여준다. 정부와 업계 모두 양적 확대에만 치중하지 않고, 질적 성장을 위한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


넷째,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다. 중국의 내권 현상은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 전략을 재편하도록 요구한다. 한국 기업들도 유럽, 미국, 동남아 등 각 지역에 맞는 맞춤형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중국 자동차 산업은 지금 세계가 주목하는 혁신의 심장이자, 동시에 내권이라는 구조적 덫에 갇혀 있다. 경쟁은 혁신을 촉진하기도 하지만, 과잉 경쟁은 산업의 기반을 잠식하고 경제를 위기로 몰아넣는다.


중국 정부가 내세운 반내권 운동은 산업을 살리기 위한 필사의 시도지만, 과잉 생산능력·무역 갈등·고용 불안이라는 삼중고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중국이 내권의 덫을 벗어나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로 전환할 수 있을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글로벌 자동차 산업 질서가 어떻게 재편될지 앞으로의 몇 년은 매우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더이상 연기는 없다. 펄어비스 '붉은사막' 내년 3월 19일 출시 확정 게임동아
챗GPT로 만든 가짜 스마트폰 사용 데이터, 실제와 얼마나 비슷할까? AI matters
"AI가 쥐만 못해?"… 쥐의 뇌 활동 데이터로 AI 시각 능력 평가하는 새 벤치마크 등장 AI matters
AI가 인간 가치관 바꿀 수도... 영국 대학 연구진 "지속 관리 필요" AI matters
AI 답변 속 광고 심는 기술 vs 탐지 기술… AI 챗봇 답변 속 숨은 광고, 알아차릴 수 있을까? AI matters
"예측 가능한 글만 살아남는다"... AI 검색이 웹사이트를 선택하는 기준 AI matters
"AI 도구 도입하면 끝?" 착각하는 회사들... 구글이 알려주는 AI 도입 성공 전략 7가지 AI matters
[Q&AI] 박찬욱 신작 '어쩔 수가 없다' 개봉... SNS 반응은? AI matters
‘복잡한 수식·차트까지 점자로’… AI 점역 솔루션으로 혁신상 받은 솔트웨어, CES 2026 출품까지 확정 AI matters
AI 챗봇, 철회된 과학논문 인용해 답변 제공… "철회 사실 전혀 언급 안 해" AI matters
엔비디아, UAE에 AI·로봇 공동연구소 설립 AI matters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 5곳 추가 건립 AI matters
라 메르, 소크 연구소와 파트너십…바이오 에너지 연구 본격화 뉴스탭
삼양 ‘불닭볶음면’, 전 세계 판매량 80억 개 돌파…K-스파이시 대표 브랜드로 뉴스탭
“모두 같은 출발선에서”, 로스트아크에 새로운 시즌제 전투 콘텐츠 ‘낙원’ 등장 게임동아
펄어비스, 검은사막 ‘시즌(V)’ 오픈… 초고속 성장 보상 대공개 뉴스탭
조텍코리아, RTX 5090 구매자 위한 ‘한강 디너 크루즈’ VIP 이벤트 개최 뉴스탭
카카오게임즈 '오딘' 신규 정예 던전 ‘망각의 신전’ 업데이트 게임동아
'다크앤다커' 시즌7 시작. 신규 던전 '푸른소용돌이' 오픈 게임동아
블루포션게임즈 ‘에오스 레드’에 신규 길드 레이드, 가을 맞이 이벤트 추가됐다 게임동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