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가 일본과의 무역협정에 따라 일본산 자동차의 대미 수입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16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되며, 일본 완성차 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 한층 강화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연방 관보에 따르면, 일본은 그동안 기본 2.5% 관세에 더해 무역확장법 232조가 적용되면서 추가로 25%의 관세를 부담해 왔다. 이에 따라 총 27.5%의 높은 관세율이 부과됐지만, 이번 합의로 일본산 자동차의 관세는 15%로 대폭 낮아졌다.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주요 일본 브랜드들은 가격 인하 여력이 생기면서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국산 자동차는 여전히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다. 한국과 미국은 무역협정의 큰 틀에서는 합의했지만, 세부 협상에서 이견이 남아 있어 최종 타결이 지연되고 있다. 이로 인해 현대차·기아 등 한국산 자동차에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 고율 관세가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일본과 유럽 업체들이 잇달아 미국과 무역 협정을 맺으며 관세 부담을 낮춘 것과 대조적이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이다. 따라서 이번 조치가 국내 자동차 산업에 미칠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일본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높아진 상황에서, 한국 업체들이 기술력 강화와 차별화 전략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면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