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온이 9월 16일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미래기술원 내에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를 준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설은 고객사에 공급할 시제품을 생산하고 품질을 검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SK온은 이 시설을 기반으로 당초 2030년이었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를 2029년으로 1년 앞당겼다.
이번에 준공된 플랜트는 약 4,628m²(약 1,400평) 규모다. SK온은 이곳에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예정이며, 일부 라인에서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를 리튬 메탈로 대체해 에너지 밀도를 높인 리튬 메탈 배터리도 개발한다.
SK온은 우선 에너지 밀도 800Wh/L 수준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며, 장기적으로는 1000Wh/L까지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SK온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온간등압프레스(WIP) 프리 기술을 국내 최초로 파일럿 플랜트에 적용했다. 이 기술은 차세대 압착 공정인 WIP의 장점은 살리면서 생산성 문제를 보완한 것이 특징이다.
WIP 기술: 배터리 전극에 높은 온도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해 성능을 높이는 기술이다.
SK온의 기술: SK온은 독자적인 셀 설계와 일반 프레스 공법을 결합해 WIP의 단점인 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 이를 통해 전극 내부 저항과 계면 저항을 동시에 낮춰 발열 반응을 최소화하고 배터리 수명을 늘렸다.
SK온은 자체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한양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수명을 3배로 늘리는 데 성공하고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다.
이석희 SK온 사장은 "이번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 준공은 SK온이 어떠한 환경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탄탄한 기업으로 도약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누구보다 앞서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해 전동화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