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가 원화 스테이블 사업 진출을 공식화하면서 기술 시연회 ‘PROJECT STABLE ONE’을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18일 진행했다. 행사는 총 1부와 2부로 구성되어 있고, 1부는 위메이드 김석환 부사장의 키노트 스피치로 시작됐다.
가장 먼저 단상에 오른 김 부사장은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미래를 짚으며, 편이성과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의 비전을 제시했다.

김 부사장은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을 매우 빠르게 혁신 중입니다. 전통 금융이 최초의 ETF로 발전하기까지 400년이 걸렸던 것과 달리 블록체인은 단 15년 만에 30배 빠른 속도로 금융을 진화시키고 있습니다”라며 변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은 이미 오프체인 경제를 온체인으로 전환하는 잠재력을 잘 이해하고 여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경제의 글로벌화와 달러 패권의 강화 속에서 온체인 시장의 99%는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차지하고 있습니다”라고 지적하며 한국이 이 흐름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부사장은 그런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대중화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두 가지 불(不)을 언급했다. 첫 번째는 불편함이다. 프라이빗 키와 시드 프레이즈, 가스비, 네트워크 선택 같은 복잡한 개념과 주소 복사·붙여넣기 과정은 일반 이용자들은 물론 기존 사용자에게도 진입장벽이 되어 대중 금융으로 확산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두 번째는 불안함이다. 시드 프레이즈를 분실하거나 해킹을 당했을 때 자산을 영구적으로 잃게 되고, 잘못 송금했을 때 복구할 방법이 없으며, 사고나 범죄에도 취약한 구조라는 점이 지적됐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그는 두 가지 청사진을 제시했다. 먼저 스테이블 코인 뱅크 설립을 통해 안전한 키 관리와 기존 디지털 금융과 동일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며, 금융 컴플라이언스 기능을 더해 거래 안전성을 확보하고 수신과 여신까지 가능케 함으로써 단순 커스터디를 넘어서는 편의성을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어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예탁원 설립을 언급하며, 토큰화된 자산의 안전한 보관과 대체 결제를 지원하고, 기초 자산의 안정성과 정합성을 확보하며, 오라클을 통해 오프체인 자산을 연결해 신뢰도를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가 정책 차원에서 안전한 키 관리 표준을 마련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위메이드 김석환 부사장은 “위메이드가 8년간 블록체인 사업을 하며 얻은 시행착오와 경험을 바탕으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대중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습니다”, “정부와 관계자들의 관심을 부탁드립니다.”라고 말하며 스피치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