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전동화 전환과 관세·수요 둔화 등 복합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전방위 전략을 가동한다. 현대차는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The Shed)’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중장기 친환경차 라인업, 글로벌 생산기지 확충, 북미 시장 특화 전략,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개하며 2030년까지 글로벌 판매 555만대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19년 시작된 CEO 인베스터 데이를 사상 처음 해외에서 연 것으로, 현대차는 세계 금융·산업 중심지인 뉴욕에서 글로벌 투자자·애널리스트·신용평가사 관계자들과 소통하며 향후 전략을 강조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CEO) 사장은 “현대차는 글로벌 판매 확대,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현지화 전략을 통해 톱3 자동차 그룹에 올라섰다”며 “이번 위기 국면에서도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 모빌리티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 친환경차 라인업 2배 확대…EREV·수소전기차 지속 개발
현대차는 내년부터 하이브리드, 전기차,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수소전기차 등을 지속 출시해 2030년까지 친환경차 판매 330만대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하이브리드 라인업은 18개 이상으로 확대해 시장 수요 변화에 대응하며, 제네시스 최초의 럭셔리 하이브리드도 내년 선보인다.
EREV는 55% 작은 배터리로 충전 스트레스를 줄이고 가격 경쟁력을 갖춘 모델로 2027년 출시될 예정이다. 수소전기차 부문에서는 넥쏘 후속을 포함한 승용·상용 라인업 확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다.
■ 글로벌 생산능력 120만대 확충…울산 신공장 내년 가동
현대차는 2030년까지 미국 조지아 HMGMA, 인도 푸네공장, 울산 신공장 등 혁신 거점을 중심으로 연간 생산능력을 120만대 확대한다.
HMGMA는 2028년까지 50만대, 푸네공장은 연 25만대, 울산 신공장은 연 20만대 전기차 생산을 목표로 한다. 또한 사우디 등 신흥시장에 CKD 거점을 늘려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할 계획이다.

■ 제네시스·현대 N, 브랜드 가치 강화
현대차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35만대로 설정했으며, 올해 GV60 마그마를 시작으로 고성능 라인업 확장을 준비 중이다. 현대 N은 2030년까지 연간 10만대 판매와 7개 이상 모델 라인업 확보를 목표로, 고성능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개발해 영향력을 넓힌다.
■ 북미 전략: 신형 픽업트럭·상용 EV·아마존 판매 강화
북미 시장은 현대차 글로벌 판매의 30%를 차지하는 핵심 지역이다. 현대차는 2030년 이전 중형 픽업트럭 출시, 전기 상용 밴 현지 생산, GM·아마존·웨이모와의 협력 확대 등을 통해 점유율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 77조 3,000억 원 투자, 영업이익률 9% 목표
현대차는 2026~2030년 5년간 ▲R&D 30.9조 ▲CAPEX 38.3조 ▲전략투자 8.1조 등 총 77.3조 원을 투입한다.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은 8~9% 달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한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2025~2027년 총주주환원률(TSR) 35% 이상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