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정부가 FTA 협정이 체결되지 않은 중국, 한국 등 일부 국가에 최대 50% 고율관세 부과를 추진한다(출처: 테슬라)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멕시코 정부가 중국·한국·인도 등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되는 차량에 대해 최대 50%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업계는 해당 조치가 시행될 경우, 현지에서 급성장 중인 BYD를 비롯한 중국산 차량 의존도가 높은 테슬라 등 주요 전기차 브랜드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전망했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해당 관세안이 지난주 공식 발표됐으며 현재 의회 승인 절차를 앞두고 있다고 전했다.
멕시코는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 체결국인 미국·캐나다 및 EU 국가들과는 무관세 교역을 이어가고 있어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계 완성차 업체들은 이번 조치에서 제외된다. 이들 업체는 이미 멕시코 현지에 생산거점을 보유해 관세 부담 없이 공급이 가능하다.
반면,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둔 BYD와 테슬라는 큰 타격이 예상된다. 테슬라는 2023년 중반 이후 멕시코에 판매 중인 모델3·모델Y 전량을 상하이 공장에서 수출해왔으며, 멕시코 공장 설립 계획을 논의했지만 아직 실질적인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다만 미국 공장에서 공급 물량을 전환할 수 있고 현지 재고도 일부 확보하고 있어, 단기 충격은 완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BYD 상황은 매우 심각해 보인다. BYD는 지난해 약 4만 대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를 현지에서 판매하며 멕시코 전체 전동화 시장의 절반을 점유해 왔다.
멕시코 전기차 시장을 장악해 온 BYD는 이번 결정이 최종 승인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전망이다(출처: BYD)
또 올해는 이보다 두 배 이상 판매를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모든 물량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관세 부과 시 가격 경쟁력을 잃고 성장세가 급격히 꺾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BYD의 경우 지난해 멕시코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했지만, 미국과의 통상 마찰을 우려한 멕시코 정부의 반대로 올해 초 해당 계획을 철회한 상황이다.
멕시코 전기차협회(Electric Mobility Association) 에우헤니오 그란디오 회장은 “50%는 매우 공격적인 수준이며 사실상 시장 판도를 뒤흔드는 게임 체인저”라고 평가했다.
한편 멕시코 정부의 이 같은 고율관세 압박에 미국으로 수출 물량을 대거 생산하는 거점으로 멕시코를 활용했던 국내 업계도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