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자동차 업계가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수입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가격 급등을 억제하며 충격 완화에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와 애널리스트들의 분석에 따르면, 관세 부담은 수십억 달러 규모에 달하지만 제조사들은 시장 점유율을 잃지 않기 위해 상당 부분을 스스로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에드먼즈에 따르면 올해 3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미국 내 신차 평균 가격은 1% 미만 상승에 그쳤다. 콕스 오토모티브 자료에서도 8월 평균 상승률은 3.3%로, 여전히 역사적 평균 범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장기화되는 관세 상황 속에서 업계의 가격 인상 압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실제 비용 부담은 막대하다. GM은 올해 관세 관련 비용이 최대 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포드 역시 30억 달러 수준의 손실을 전망했다. 현대차 북미법인의 랜디 파커 CEO도 “2분기 관세 비용만 6억 달러를 차감했지만, 여전히 가격 인상은 자제하고 있다”며 “경쟁력 유지가 최우선”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결국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본다. 전 GM 임원 출신의 컨설턴트 워렌 브라운은 “국산차·수입차 모두 관세가 적용될 경우 차량당 약 2,300달러 비용이 추가됐다”며 “소비자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겠지만, 연말 이후 점진적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미 일부 브랜드에서는 가격 조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포드의 멕시코 생산 모델, 스바루 일부 라인업, 포르쉐·아스톤 마틴 등 고급 브랜드는 선제적으로 가격을 인상했다. 또 에드먼즈 분석에 따르면 차량 운송 비용인 ‘데스티네이션 피(Destination Fee)’는 2025년형 모델에서 전년 대비 8.5% 올라 1,507달러를 기록, 지난 10년 평균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업계 전반은 소비자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관세 부담을 흡수할 수 있는 ‘연착륙’식 가격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