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의 북미 시장 전략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맞춰 중요한 기로에 섰다. 지난 18일(현지시간) 현대차는 2030년까지의 중기 전략을 발표하며, 2025년 전망 대비 북미 시장 판매 비중을 축소한다고 밝혔다. 전기차 보조금 폐지, 관세 및 불법 취업 문제 등 여러 역풍을 고려한 전략적 변화로 풀이된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CEO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투자자 행사에서 2030년까지의 사업 전략을 설명했다. 현대차는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0만 대로 설정하며, 2025년 전망치보다 30% 성장을 예상했다. 북미 시장은 20% 성장이 예상되지만, 전체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29%에서 2030년 26%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판매 비중을 9%에서 15%로 늘리고, 유럽 등 다른 지역의 비중도 확대할 방침이다. 무뇨스 CEO는 “미국에만 의존할 수 없다”며 다른 지역에서의 수익 비중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차의 전략 수정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특히 9월 말부터 시행된 전기차 신규 구매 보조금 폐지와 배기가스 규제 철회는 현대차의 대규모 미국 내 투자에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현대차는 조지아 공장에서 전기차 외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하이브리드(HV) 차량도 생산하는 등 생산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계획이다. 또한 2030년에는 북미 시장에 중형 픽업트럭을 출시하고, GM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상용 밴과 가솔린 차량 공동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북미 사업의 이익률을 3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높은 관세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현재 현대차의 미국 내 수입 차량 비중은 66%에 달하며,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가 장기화될 경우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이에 현대차는 2030년까지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을 80%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이를 위해서는 현재 생산 능력의 두 배 이상을 증설해야 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투자에 대한 회의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에 건설 중인 전기차 배터리 공장에서 불법 노동 혐의로 근로자가 구금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60억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미국 내 투자를 단행했음에도, 단기적으로는 이익보다 역풍이 더 거세게 불고 있다.
무뇨스 CEO가 이끄는 현대차의 새로운 전략이 불확실한 사업 환경을 헤쳐 나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