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국내 시장 고객 인도가 시작되는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안전성과 보안 논란이 제기된다(출처: 테슬라)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테슬라의 전기 픽업 '사이버트럭'이 다음달 국내 시장에서도 첫 고객 인도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도로 위 안전성 논란이 제기된다.
북미 외 지역에서 사실상 판매가 되지 않는 해당 모델은 특히 유럽의 경우 스테인리스 강철 소재의 차체로 인해 판매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흥미로운 부분은 최근 독일 주둔 미군에서 조차 사이버트럭의 반입이 금지되는 등 안전성과 보안 문제에 심각성 논란이 제기된다.
현지 시각으로 지난달 30일, 일부 외신은 독일에 주둔 중인 미군 장병들이 테슬라 사이버트럭을 개인 차량으로 반입할 수 없게 됐다고 전했다.
독일 연방교통부와 미 육군 세관청은 사이버트럭의 날카로운 외형과 안전 규정 미준수 등을 이유로 현지 도로 주행을 전면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사이버트럭은 유럽연합(EU)의 차량 판매 승인을 받지 못했다. 독일 당국은 스테인리스 강철로 된 차체 외피가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오토바이 운전자 등 교통 약자 충돌 시 치명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최근 독일은 미군의 사이버트럭 반입을 금지했다(출처: 테슬라)
이에 대해 최근 미 육군 세관청은 “사이버트럭은 EU 법규와 크게 어긋나며, 독일 공공도로에서의 안전한 운행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사이버트럭은 안전성 문제와 더불어 군 보안 측면에서도 걸림돌이 발생했다. 미군 차량에는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규정이 있지만, 사이버트럭은 독특하고 눈에 띄는 외관으로 인해 이 목적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미 육군 세관청은 장병이 개인적으로 사이버트럭을 독일로 들여올 경우, 결국 미국 본토로 되돌려야 하며 이 비용은 전적으로 본인 부담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치는 테슬라가 사이버트럭을 유럽 시장에 직접 판매하지 않는 배경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판매되는 차량이라도 EU 안전 규제를 통과하지 못하면 진출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드러낸 사례다.
특히 독일 교통 당국과 미군 당국 모두 사이버트럭을 ‘특례 없이 금지’ 대상으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해당 모델의 안전성 논란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