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11월 1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대형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국가 안보 보호’와 ‘미국 내 제조업 부흥’을 명분으로 내세운 정책으로, 글로벌 상용차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지난달, “대형 트럭 제조사를 불공정한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고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관세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빠르면 10월부터 시행 가능하다고 언급했지만, 최종 시행일은 11월 1일로 확정됐다.
현재 일본과 유럽연합(EU) 등과의 무역협정에서는 소형차에 대한 관세율이 15%로 설정되어 있으나, 중·대형 상용차 부문은 협정 적용 범위에서 제외되어 있었다. 이번 조치로 인해 배송용 트럭, 청소차, 공공사업용 트럭, 수송버스, 셔틀버스, 스쿨버스, 트랙터트레일러 등 모든 상업용 대형차가 25% 관세 대상이 된다.
이에 대해 미국 상공회의소는 상무부에 공식 서한을 보내 “해당 관세는 미국 내 산업과 공급망에 부담을 줄 뿐 아니라, 동맹국과의 경제적 긴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상공회의소는 특히 주요 수입국으로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핀란드를 지목하며, “이들 국가는 모두 미국의 핵심 동맹이자 파트너로, 국가 안보 위협의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번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산업 중심 정책이 한층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가 미국 내 상용차 가격 상승과 물류비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